원자력연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 국제표준화기구 수질분야 표준 승인
원자력연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 국제표준화기구 수질분야 표준 승인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11.27 10: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에서 해수 중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에서 해수 중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을 개발했다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해수 중 스트론튬-90(90Sr) 신속분석법이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TC147) 총회에서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원자력환경실 김현철 박사팀은 분석이 어려운 스트론튬-90 대신 딸핵종(daughter nuclide)인 이트륨-90(90Y)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분석법을 개발했다.

이는 모핵종의 반감기가 딸핵종의 반감기보다 월등히 긴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모핵종과 딸핵종의 방사능 농도와 같아지는 영속평형 현상을 활용한 것으로 이트륨-90을 흡착하는 수지와 자체 개발한 자동핵종분리장치를 통해 분석 시간을 기존 3주에서 단 2일로 대폭 단축했다.

또 시료 전처리에 활용할 수 있는 대용량 해수 전처리 장비를 자체 개발해 전처리 시간을 3시간으로 대폭 줄여 하루면 최종 분석이 가능하게 했다. 특히 시료 전처리 장비는 2022년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 성공해(SALT-100, ㈜위드텍) 국내외 기관에서 활용 중이다.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과 전처리 장비는 현재 국내 방사능 관련 주요 기관(한수원, 원자력환경공단, 경북대)이 택해 해양방사능 감시에 활용하고 있다. 또 프랑스 방사선방호원자력안전연구소(IRSN)도 이 기술을 채택했으며, 지난 7월 IRSN 측 요청으로 연구팀과 함께 공동 조사를 시행한 바 있다.

이와 함께 IAEA 해양환경실험실(MEL)도 해수 전처리 장비를 설치했다. 다만 MEL 측은 스트론튬-90이 아닌 세슘 분석에 활용할 예정으로, 이 역시 연구팀이 개발한 또 다른 해양방사능분석법인 방사성세슘 신속분석법을 채택해 내년부터 활용하기 위함이다.

향후 연구팀은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승인된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을 반영한 ISO 13160:2021 개정안 작업을 주관해 2027년 발행할 예정이며 표준 분석법으로서 국제적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내년에는 해수 중 방사성세슘 신속분석법도 국제표준으로 추가 제안해 승인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이완로 안전관리단장은 “이번 ISO의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 국제표준 승인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방사능 분석법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인정된 최초 사례”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해양방사능분석 분야의 국제 리더십을 공공히 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