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박덕흠 의원 "밭농업 기계화 확대 지지부진"
국힘 박덕흠 의원 "밭농업 기계화 확대 지지부진"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4.10.10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종·정식, 수확 최근 5년간 기계화율 고작 3.1%, 5.6% 각각 증가 
국회 정보위원장인 박덕흠 의원
국회 정보위원장인 박덕흠 의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은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밭농업기계화 확대를 위해 최근 5년(‘18~‘22) 동안 약 260억 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입했으나, 여전히 밭농업 기계화율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10일 지적했다.

박덕흠 의원이 농진청에서 받은 ‘2022년 작업단계별 밭농업 기계화율’에 따르면, 밭농업은 ▲경운·정지 ▲파종·정식 ▲비닐피복 ▲방제 ▲수확 5 단계 나뉘며 특히 파종·정식(12.6%) 과 수확(32.4%) 기계화율이 매우 낮아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파종·정식의 경우 ▲2018년 9.5% ▲2020년 12.2% ▲2022년 12.6% 으로 확인됐으며, 수확 기계화율은 ▲2018년 26.8% ▲2020년 31.6% ▲2022년 32.4%로, 5년 동안 각각 3.1%와 5.6% 증가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농진청은 ▲2018년 37억 6,000만 원 ▲2019년 41억 8,300만 원 ▲2020년 57억 5,500만 원 ▲2021년 57억 1,800만 원 ▲2022년 64억 6,900만 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자했다. 기계화율은 2 년 주기로 짝수 해에 조사된다.

작물별로 살펴보면 배추와 고추는 파종·정식과 수확 때 기계화가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0%) 수작업에만 의존하는 수준이었으며, ▲(무) 파종·정식 0.8%, 수확 10.4% ▲(마늘) 파종·정식 14.8%, 수확 43.8% ▲(양파) 파종·정식 16.1%, 수확 25.8% 등 다른 작물 역시 기계화까지 갈 길이 멀어 보였다.

박덕흠 의원은 “밭농업 기계 보급 확산을 위해 투입된 연구개발비에 비해 정작 성과는 터무니없이 낮다”라며 “기계화율이 낮은 고추나 배추 등 연구개발 예산이 필요로 하는 곳에 제대로 활용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밭농업 기계화는 이미 오래전부터 농업 현장에서 개선돼야 할 점 중 하나로 지적되고 최근 더 빠르게 농촌 고령화 진행되고 있는 만큼, 기계화 요구가 높은 순으로 연구개발(R&D) 우선순위를 정하고 보급 계획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