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명서는 "공정한 보도를 해야 할 기자들이 5.31지방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들을 찾아가 선거홍보물을 화산기획과 충청투데이에 맡길 것을 종용하고 있다는 것에 분개한다"면서 "지방언론 활성화 지원자금까지 지정받은 충청투데이가 정부의 정책에 반하는 불법영업행위를 자행, 인쇄인의 마음을 더욱 무겁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동안 충청투데이 기자들은 언론인으로써의 역할은 하지 않고 화산기획의 영업사원으로 각 출입기관에 인쇄물 수주 영업을 해 왔다"면서, "충청투데이신문사가 화산기획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 그동안 기자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채 인쇄영업 행위를 한 관련자들을 발본색원하여 엄히 징계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향후 의견이 관철되지 않으면 "충청투데이에 어떠한 인쇄물도 수주하지 못하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고, 신문광고 업체 물건 불매운동, 신문구독 불매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임을 명시하고 "사법기관에서 불법행위에 대해 처벌할 것"과 "인쇄영업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언론 본연의 임무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충청투데이는 이날 오전 1면 사고를 통해 “본사의 사업 영역은 신문, 인쇄출판, 광고물제작, 광고대행, 홈페이지 제작 등으로, 지역 세무서 사업자등록을 통해 법의 테두리 내에서 합법적인 영업을 해 왔다”면서 “(인쇄조합이) 비리언론사로 공개 매도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과도한 언어폭력임과 동시에 심각한 명예훼손이 아닐 수 없다”면서 법적 대응 입장을 밝혔다.
충청투데이는 이어 “인쇄업계 사업자들이 영업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은 함께 경쟁을 해야 하는 본사로서는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인쇄물의 수주물량이 감소했다는 이유만으로 본사를 비리 언론사로 매도하는 등 본사에 대한 악의적 비난이 정도를 넘어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인쇄조합 구자빈 이사장과 기자들의 일문일답 요지다.
# 제보자들이 어떻게 회유와 협박을 받았나?
* 대전충남지역 인쇄업계 조합원들을 상대로 사례 접수를 했으나, 정치인들은 불이익을 우려해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유는 제보 내용은 기자들이 출마자를 찾아가서 충청투데이에 일을 맡기게 되면 좋은 내용의 보도를 할 것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를 했다. 조합원 사장들이 출마자들로부터 직접 들었다고 한다. 이런 사례는 대전뿐 아니라 충남지역 시. 군 단위에서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
# 성명서에서 기자들이 지방선거 출마자들을 찾아가 선거홍보물을 회유와 협박을 동원해 수주했다고 했는데, 근거가 있나?
* 우리는 권한이 없지 않은가. 그렇기 때문에 수사를 해 달라고 하는 것이다. 조합으로 제보가 많이 있었다. 직접 출마자에게 확인을 한 사실이다. 그러나 제보자가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법정에서 진술을 해줄 것으로 안다.
# 신문사도 회사니까 영업을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 기자들(주재기자나 출입기자)을 동원해서 일반 인쇄물까지 수주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그리고 공정해야 할 언론기관에서 선거와 관련해 영업행위를 한다면 공정성이 얼마나 확보되나 묻고 싶다. 이런 내용을 시민들이 알아야 한다.
# 충청투데이 때문에 어느 정도 피해를 입었다고 추정하나?
* 지난해 인쇄조합을 통해 계약 건은 5천만 원 내외 정도다. 그러나 비공식적으로 더 클 수도 있다. 현재 대전충남지역에 지방선거 출마자가 2천5백 명 정도 되는데, 그중 5백 명을 목표로 영업활동을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 다른 지역에서는 언론사가 인쇄 영업도 하고 있다고 들었다.
* 지난 국회의원 선거 때도 인쇄업에서 재미를 봤다는 얘기를 들었다. 이번에는 아예 노골적으로 욕심을 내는 것 같다. 인쇄업계 정기총회 때도 문제가 제기 됐다.
#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 30일 총회를 열고 오페라웨딩에서 화산기획사의 회원 철회를 갖고 충청투데이 앞까지 규탄 결의대회도 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