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첫 시청사, 베일 벗었다...원형복원사업 최초 공개
대전 첫 시청사, 베일 벗었다...원형복원사업 최초 공개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5.03.26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축 당시의 기둥과 보, 벽체, 원형창과 궁륭형 우물반자 등 확인
대구‧군산공회당 건축도면과 대조하며 정밀한 복원사업 추진 예정
4월 4일~5일 일반 시민 대상 공개행사… 5월엔 학술대회도 개최
이장우 대전시장이 첫 대전시청사 3층 천장을 둘러보고 있다.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는 26일 ‘첫 대전시청사’의 원형복원사업 현장을 언론에 첫 공개 했다.

첫 대전시청사는 1937년 건축된 대전의 근대 건축물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건물 주인이 바뀌면서 철거 위기에 처했었다. 이후 민선 8기에 들어 시가 적극적인 매입과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원형 복원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날 공개행사는 1차적으로 진행된 해체 공사의 성과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오랜 세월 다른 여러 용도로 사용돼 오면서 덧대어진 내부 마감재들과 각종 설비 등을 해체‧철거해 건축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해체 공사는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 말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됐다.

대전시는 이번 해체 공사를 통해 1937년 건축 당시의 기둥과 보, 벽체 등의 구조부재는 물론 원형창의 위치와 천장 몰딩, 궁륭형 우물반자 등 장식적인 부분 또한 상당 부분 원형이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

또 일부 훼손이 되긴 했지만, 화장실과 영사실 계단 등 예전의 흔적들 또한 다수 찾아내, 향후 성공적인 원형복원 사업의 가능성을 높였다.

다만 최초의 건축도면은 분실되면서 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문서에서 찾아낸 대구공회당(1931년)과 군산공회당(1934년) 건축도면을 토대로 현재의 구조와 흔적들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이 방식으로 최대한 정밀한 복원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장우 시장은 "첫 시청사 건물을 시민 모두가 자부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는 대전의 대표공간으로 활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공회당으로 출발한 첫 시청사 건물은 대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건물인 동시에, 일제강점기 지방 공회당 건물 중 유일하게 보존된 사례로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건축유산”이라며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시민 모두가 자부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는 대전의 대표공간으로 활용해 나가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4월 4일과 5일, 이틀간 일반 시민들 대상 공개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5월에는 국내와 해외의 저명한 건축사가들을 초청, 첫대전시청사의 보존과 활용을 주제로한 학술대회 또한 가질 계획이다.

건축물의 구체적인 활용안은 5월 건축기획용역 완료 후 청사진이 나올 예정으로, 용역 완료 전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 또한 계획돼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