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21세기 말 지구 평균 온도 약 4도 증가”
IBS “21세기 말 지구 평균 온도 약 4도 증가”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12.09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BS 참여 한·미 공동 연구진, 대규모 기후 시뮬레이션 수행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한 강수 발생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한 강수 발생 변화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21세기 말에는 전 지구 평균 온도가 약 4도 증가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현재 기후에선 발생하지 않는 일 강수량 800mm 이상의 극한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 연구팀이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복합지구시스템모델 그룹과 15개월에 걸쳐 대규모 지구시스템모델 앙상블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9일 밝혔다.

공동 연구진은 최신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1850~2100년 기간의 평균 기후뿐만 아니라 수일 주기의 날씨에서 수년 주기 엘니뇨, 수십 년 주기를 가진 다양한 기후 전반의 변동성을 약 100km 공간 해상도로 시뮬레이션했다.

100km의 공간 해상도로 시뮬레이션 했다는 것은 지구를 100km 격자로 나눠 각 격자에서의 기온, 바람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후 관련 변수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해양 상태‧대기 온도 등 초기 조건을 조금씩 바꿔가며 시뮬레이션을 100번 반복해 수행했다. 그 결과 나비효과(초기 상태의 미세한 변화가 향후 예상 밖의 큰 변화를 유발)로 인한 기후 시스템의 광범위한 변화까지 면밀히 분석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출력되는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약 5페타바이트(PB·1PB는 1024TB)의 디스크 공간이 필요했다.

연구 결과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배출은 평균적인 기후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현저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령 21세기 말에는 전 지구 평균 온도가 2000년 대비 약 4℃가 증가하고 강수량의 경우 약 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극한 기후 현상의 변화는 평균치 변화보다도 훨씬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열대 태평양 지역에서 일강수량 100mm 이상의 극한 강수 발생 빈도는 현재 대비 21세기 말에는 10배 정도 증가하며, 현재 기후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강수량 800mm 이상의 극한 현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또 현재 기후에서 평균 반복 주기가 3.5년이던 엘니뇨현상은 21세기 말에는 2.5년으로 짧아질 것이라 예측되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전 지구적 기온과 강수의 연간 변동성에도 변화가 찾아 올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대규모 앙상블 프로젝트의 공동대표인 키스 로저스(Keith Rodgers)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호우·혹서 등과 같은 극한 기후의 강도와 빈도가 변화하는 것은 물론, 계절 주기까지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