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KPEC)는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K-AI 사업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신약개발 임상시험 설계·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임상-임상 단계 간의 데이터 연계와 임상 진입 가속화를 지원하기 위한 대형 국가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 사업기간은 2029년까지이며 정부출연금 약 371억원이 투입된다.
사업은 ▲1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총괄) ▲2주관 서울대병원 ▲3주관 삼성서울병원 ▲4주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4개 주관기관이 참여해 수행한다.
생명연 KPEC은 이번 사업에서 4주관 주관기관(연구책임자 정현철 박사)으로 참여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AI 기반 약물 평가 플랫폼 구축을 주도한다.
4주관 과제에는 한국화학연구원,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연세대학교, ㈜인실리콕스, 경북대학교, 우석대학교, 칼리시, 바이온사이트, 엔딕 등이 공동/위탁/용역 기관으로 참여해, 오가노이드-디지털 트윈 융합 플랫폼 구축과 실증 연구를 함께 추진한다.
연구는 정상 및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주요 암 질환의 고품질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임상 데이터와 연계·분석해 예측 알고리즘을 고도화함으로써, AI 기반 약물 평가 플랫폼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휴먼 오가노이드 기반 약물 유효성·안전성 평가 및 전임상 데이터 확보 ▲전임상-임상 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연합학습 기반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및 검증 등이다.
KPEC 디지털전임상팀 정현철 박사는 “AI 기반 예측 플랫폼을 통해 전임상과 임상 데이터를 연계하고, 약물 반응과 독성 예측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휴먼 오가노이드와 동물모델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임상 반응을 예측하는 전임상–임상 브리지 허브를 구축함으로써, AI 신약개발의 가속화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