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해경 순찰 징계 고작 3 건... 처벌도 솜방망이"
"최근 5년 해경 순찰 징계 고작 3 건... 처벌도 솜방망이"
  • 박영환 기자
  • 승인 2025.09.22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 어기구 의원 분석... 해경 기강해이 바로잡을 특단 대책 필요
어기구 국회의원
어기구 국회의원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해양경찰의 기강해이가 부실한 복무 점검과 솜방망이 징계에서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故)이재석 경사 순직 사건에서 드러난 영흥파출소 근무일지 야간 휴게시간 허위 기록 정황 등이 만연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해양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간 해양경찰관의 순찰 근무 관련 징계가 단 3건에 불과했다.

징계 사유는 근무일지 미작성, 순찰표 허위작성, 근무 지정 누락 등으로, 모두 ‘직무태만’에 해당했다. 

그러나 처분 수위는 감봉 1개월 1건, 견책 2건에 불과해 사실상 솜방망이 징계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례를 보면 2022년 인천해경서 소속 하 모 경감은 파출소 근무일지 미작성과 야간 휴게시간 편법 작성 등을 방치해 감봉 1개월 처분을 받았다.

2021년 여수해경서 강 모 경사는 함정 당직 중 순찰표 3장을 허위 작성하고 근무지를 무단 이탈했지만 견책에 그쳤다.

2020년 울산해경서 박 모 경위 역시 순찰 근무를 지정하지 않은 채 일지를 작성하다 적발됐지만 모두 가장 낮은 단계의 견책에 그쳤다.

어 의원은 “해양경찰의 복무 점검과 징계는 국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데 최근 5년간 점검은 연평균 8 회에 불과했고, 적발된 징계도 솜방망이에 머물렀다”며 “이런 수준으로는 현장 기강 확립은커녕 반복적인 안전사고를 막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故) 이재석 경사 순직 사건에서도 영흥파출소 근무일지에 야간 휴게시간이 허위로 기록된 정황이 드러났음에도 제대로 된 관리·감독이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드론 업체가 새벽 2시경 구조 요청을 했을 때 파출소에는 이 경사와 팀장 두 명만 근무 중이었고, 결국 이 경사가 홀로 출동해 희생으로 이어졌다.

어 의원은 “해양경찰관 약 1만 3000명을 관리하는 해경 감찰관은 고작 116명에 불과해, 감찰관 1명이 112명 이상을 담당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며 “이 같은 인력과 제도로는 현장의 기강 해이를 막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