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 용봉문환두대도 등 148건 174점 선보여
[충청뉴스 공주 = 조홍기 기자] 국립공주박물관(관장 이정근)은 오는 9월 10일(화)부터 2025년 2월 9일까지 특별전 “상상의 동물사전-백제의 용龍”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백제의 용을 중심으로 백제 문화의 다양성과 풍부함을 확인하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받침 있는 은잔을 포함하여 용 관련 유물 148건 174점을 선보이며, 그중 국가지정문화유산 13점(국보 6점, 보물 7점)도 함께 전시한다.
상상의 동물, 용 그리고 백제
전시에서는 '상상'과 '현실'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백제 사람들은 용을 어떻게 생각하였고 이를 실제로 어떻게 구현했는지 소개한다.
전시는 3부로 구성된다. <1부: 모든 것은 상상想象에서 시작한다>에서는 용의 기원과 상징적 의미를 조명한다. 인간이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동물의 특성을 결합하여 용을 상상해 낸 과정과 그 의미를 소개한다. 숙종대왕어필각석, 일월십이지도와 같은 역사적 유물뿐만 아니라, 타르보사우루스 두개골 복제품과 벵골호랑이 등의 동물 표본도 함께 전시하여 용의 생김새를 상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제공한다.
<2부: 상상을 현실로 만들다-백제 용의 시작과 완성>에서는 백제 용 도상의 특징을 살펴본다. 평면적인 용이 입체적인 형태로 구현되는 과정을 금동신발, 금동관모, 환두대도 등의 유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물로 지정된 나주 복암리 정촌 금동신발과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3부: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잇다-백제 용의 역할>에서는 백제에서 용이 단순한 장식을 넘어 어떤 상징적 의미를 가졌는지 탐구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된 백제 용 관련 내용을 통해 용이 물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고, 지배자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하는 존재로서의 용의 의미를 조명한다.
펼쳐진 책을 통해 살아있는 백제의 용을 만나다
공주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백제의 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전시실에 들어서는 관람객들은 마치 책 속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받는데 전시는 책을 펼치는 것부터 시작되며, 관람객들이 책의 내용을 탐색하면서 백제의 용을 마주하게 된다고 언급했다.
실제 유물과 함께 참고 자료와 영상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백제유물도감’에서는 책 속의 내용들이 마치 움직이는 것과 같은 경험을 선사한다. 주요 전시품의 3D 고화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작된 영상은 실제로 관찰하기 어려운 용 문양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게 하며, 연구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도 지닌다.
풍성하고 다채로운 연계 프로그램 운영
전시를 보다 풍성하게 감상하기 위해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매월 둘째 주부터 넷째 주 토요일에는 가족프로그램으로 “우리 가족 슬기로운 공작생활”시리즈로 ‘백제 용 사전’, ‘용무늬 칼’, ‘용이 사는 신비로운 세상’을 주제로 운영한다.
한편, 백제 용에서 나아가 용이 가진 문화적 의미에 대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특별강연회도 열린다. ‘한국의 괴물 용(곽재식 숭실사이버대 교수)’, ‘유리시아의 용문화(강인욱 경희대 교수)’를 주제로 각각 10월 10일과 11월 28일에 있다.
공주박물관 측은 "이번 특별전은 백제인들이 남긴 단서를 모아 용이라는 주제 아래 사전의 형태로 엮어낸 것"이라며, "백제의 용은 단순한 장식 이상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백제인들이 상상한 용의 모습과 그 속에 담긴 깊은 의미를 발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