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은 16일 대전 솔브릿지 국제경영대학 4층 회의실에서 ‘도심융합특구를 통한 대전혁신도시의 완성’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도심융합특구법(이하 특별법) 시행에 앞서, 부처·지자체 및 관계기관의 실무전문가들과 함께 대전시민들을 모시고 ‘도심융합특구를 통한 대전혁신도시 완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토론회에선 대전시 박종복 도시재생과장이 도심융합특구 사업 전반의 개요와 추진경과를 설명하고 향후 복합환승센터 개발구상과 실시계획을 수립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며 경과보고를 진행했다.
대전시 김태수 균형발전담당관은 대전역세권과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용역과의 연계를 통해 공공기관 2차 이전 추진과 특화산업, 정주여건과 세제감면 이주정착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최임락 국토도시실장은 “도심융합특구는 사실상 지방판 판교 를 만드는 작업으로, 문화와 상업 인프라를 갖춘 특구를 위해 법안 통과 이후 예산확보와 사업의 본격적인 착수 를 위해 대전시와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토론회 좌장은 중앙대학교 마강래 교수가 맡았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국토연구원 서민호 연구위원은 “도심융합특구는 미래의 성장거점이자 엔진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압축과 연결 이라는 관점에서 초광역권의 핵심 거점 으로 기능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산업연구원 송우경 지역정책실장은 “대전의 혁신도시는 후발주자지만 빠른 비전과 기회로 가장 선도적인 혁신도시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라며 “철도와 기상, 지식산업 을 통한 특화산업 강화 . 특히 규제특례 를 통한 글로벌 연계교류의 거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장철민 의원은 “자동차를 만드는 사람과 자동차를 타는 사람은 그 고민과 무게가 다르다”며 “이번 도심융합특구와 혁신도시 또한 실제로 타는 분들, 새롭게 오시는 분들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고 나아가 전 국민이 소비자로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