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2020년 개원 이후 '폐암 수술 100례 돌파'
세종충남대병원, 2020년 개원 이후 '폐암 수술 100례 돌파'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1.29 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0% 이상 흉강경 이용한 최소 침습수술, 수술 사망률 0%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은 흉부외과 조현진 교수가 2020년 7월 개원 이후 2년여 만에 폐암 수술 100례를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흉부외과 조현진 교수
흉부외과 조현진 교수

조현진 교수는 폐암 수술의 90% 이상을 흉강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수술로 진행하고 수술 사망률이 0%로 수술 후 관리 측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성과는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이 중증 암 수술에서도 지역사회와 지역민들의 필요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연보에 따르면 암(악성신생물)으로 인한 사망은 최근 10년간 지속해서 늘고 있다.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자는 2011년 142.8명이던 것이 2021년에는 161.1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심장질환은 2011년 49.8명에서 2021년 61.5명, 폐렴은 2011년 17.2명에서 2021년 44.4명으로 늘었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월등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1983년부터 2021년까지의 암 종별 사망률 추이를 살펴보면 급격하게 상승한 폐암 사망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 주요 사망 원인별 사망률 추이, 2011년~2021년, 통계청)
(그림 1 : 주요 사망 원인별 사망률 추이, 2011년~2021년, 통계청)

인구 10만명당 폐암 사망률은 1983년 5.9명이던 것이 2021년에는 36.8명으로 급증하는 등 2021년 통계에서 남녀 모두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위에 오른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2021년 20.0명)보다 2배 가까운 수치이다.

악성신생물(암) 사망률 추이, (1983년~2021년, 통계청)
악성신생물(암) 사망률 추이, (1983년~2021년, 통계청)

암에 대한 다양한 치료가 발달하고 있지만 폐암 사망률이 높은 것은 발견 당시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고 근치적(根治的) 치료를 하더라도 다른 암에 비해 재발과 전이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종양 위치 표시 및 형광 염료를 이용한 폐 구역 표시법
종양 위치 표시 및 형광 염료를 이용한 폐 구역 표시법

그나마 최근에는 폐 검진 목적으로 저선량 흉부 CT를 시행, 초기 폐암 병변들이 많이 발견되면서 조기 절제를 통한 폐암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조현진 교수는 “폐의 바깥쪽 구역에 있는 1기 초기 폐암에서는 기존보다 폐 절제를 최소화하면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는 폐 구역 절제술이 앞으로 표준 수술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확한 구역 절제를 위해 종양 위치 표시 및 형광 염료를 이용한 폐 구역 표시 기법이 최소 절제 수술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