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가을 단풍을 위해 등산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발목 부상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등산 사고는 발목 염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발목 뼈가 순간적으로 뒤틀리면서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게 되고 부어오르며 통증이 생긴다. 심한 경우에는 탈골되거나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평소 관절염이나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고령층은 산행 시 잘 넘어지거나 가벼운 충격에도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등산 중 발목 염좌가 발생했을 때 응급조치는 신발을 신은 상태로 붕대나 손수건, 부목 등으로 발목을 고정하여 움직임을 최소화한 뒤 다친 부위에 냉찜질을 하는 것이다.
만약 사고로 발생한 발목 염좌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목불안정증은 발목 염좌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발목이 아플 때 단순히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겨 방치하면서 나타난다. 발목염좌를 방치하면 반복적으로 발목을 접지르게 되면서 발목 인대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정상보다 커진 유격이 발생한다. 이 경우 발목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목불안정증은 또 다시 발목 염좌를 유발하고 이 염좌는 다시 발목불안정증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그렇기에 발목 부상을 입었다면 의료기관을 통해 인대가 제대로 발목을 잡아주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인대 기능이 저하된 것이 의심되면 검사를 통해 더 자세히 살펴본 후 손상에 따른 적절한 대처를 진행한다.
발목불안정증과 인대 파열 정도가 심한 환자에게는 인대 봉합 및 재건술을 진행하여 인대가 제 기능을 하도록 재건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파열된 인대를 제 위치에 봉합하고, 주위 조직을 강화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수술 방법이다.
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항상 걸을 때 발 끝과 무릎이 일자가 되도록 하고 다리가 팔자 모양으로 걷지 않아야한다. 등산을 할 때는 등산화 끈을 단단히 묶고 특히 발목 부분을 잘 고정해야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