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중장년층에서 '나이가 들면 다들 병 하나씩은 안고 산다'라는 말을 흔하게 하곤 한다. 수십 년동안 몸을 써왔기 때문에 어디 한 군데가 고장이 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라는 뜻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 말을 두고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치료를 해도 소용없다는 것으로 오해해 방치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바로 허리디스크다.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이 질환은 퇴행성 질환 중 하나로 실제로 나이에 관계없이 허리가 아프면 그냥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누군가는 도수치료를 받거나 운동을 하거나 하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개선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혹자는 수술이 능사라고 생각해서 교정을 하려는 노력 대신에 조기에 디스크 수술을 진행했다가 후유증을 겪기도 한다. 반대로 수술이 무조건 좋지 않다는 생각때문에 디스크가 파열되기 직전임에도 불구하고 고통을 참다가 결국 완전히 파열된 후에야 응급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같은 질환에 대처하는 자세가 각기 다르다.
허리수술이 필수는 아니지만 꼭 피해야 하는 치료법도 아니다. 다만 증상이나 예후에 따라 정확한 판단을 근거로 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모든 수술에는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따를 가능성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수술을 피한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허리통증이나 다리 저림과 같은 허리디스크가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척추질환 전문의를 찾아 자세한 검사를 받아보는 거이다. 치료는 진단을 기반으로 진해오디는데 가능하다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운동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부터 적용해보는 것이 좋다.
대부분 디스크 질환은 비수술적인 치료와 함께 충분히 휴식을 취한다면 자연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급성 디스크 또는 파열이 의심되는 디스크, 3개월 이상 보존적인 치료를 진행해도 차도가 없는 디스크 질환은 환자의 나이와 활동량, 증상 등을 고려해 적절한 타이밍에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퇴행성 척추질환은 평소 생활습관이 발생 원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제는 나이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질환이 됐다. 따라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있거나 나쁜 자세는 교정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척추의 변형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