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성즉패 자초한’인간 이해찬
‘극성즉패 자초한’인간 이해찬
  • 윤소 기자
  • 승인 2006.04.10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기서린 반격 오만불손이‘화’불러

 ‘극성즉패’(極盛則敗)라는 격언이 있다. 사람이 너무 극성을 부리면 얼마가지 못해 패가망신하고 만다는 뜻이다.
이말은 이해찬 국무총리를 떠올리게 한다. 총리 자리에 앉아 그토록 극성을 부리더니 망신을 면치 못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철도파업날 웬 골프,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
이 총리는 3·1절 행사와 철도파업이 겹친 날에 부산으로 내려가 골프를 즐겼다. 게다가 함께 골프친 사람들 중에는 과거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한 기업인을 비롯, 부적절한 사람들이 끼어있다는데서 더욱 충격적이었다.
노 대통령이 언젠가 “이 총리는‘갈등과 이해관계를 통합 조정하는 감각’이 빠르고, 자신과는‘천생연분’이며, 그가 있어 나는 참 행복하다”고 자랑한 바도 있었다는 데서 더욱 그렇다.
이 총리는 갈등을 조정하는게 아니라 거꾸로 격화시켰다. 그는 표독스런 표정과 말, 신경질적 응수, 독기서린 반격, 안하무인적 태도, 오만불손 등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총리는 행정부와 야당간의 조정자 역할 바람직
그는 총리로 취임한지 3개월 만에 기자들과의 저녁 간담회에서 비판 신문들에 대해 살기를 드러냈다. 그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 대해 “더 이상 까불지 말라”“조선·동아는 내 손아귀 안에서 논다”고 퍼부었다. 대한민국의 총리가 아니라 불량배 두목이 부하들에게 객기를 드러내 보이려 내뱉은 말과 같았다.
그는 한나라당에 대해서도 표독스럽게 응수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집권하면 역사는 퇴보한다”고 저주했다.
그에 대해 한나라당이 국회질의를 통해 따지자, 그는 사과대신 앙칼지게 맞섰다. 그는“한나라당은 지하실에서 차떼기하고 고속도로에서 수백억 원을 받은 당이다”라고 되받아쳤던 것이다.
그는 총리로서 행정부와 야당간의 조정자 역할을 포기하고 집권당을 위한 돌격대로 나선 듯 싶다. 그는 총리가 된 뒤에도 운동권 시절의 앙칼진 반항 습성을 벗어 던지지 못했다.

국민들의 여론에 못이겨 결국 사퇴
3·1절의 부적절한 골프 해프닝 후에도 이 총리의 신경질적 반응은 여전했다. 그는 3월 3일 전남 지역 인사들과의 간담회에서 한 대학교 총장에게도 면박을 주었다. 그 대학 총장이 한의과대학 신설을 건의하려고 하자, 이 총리는 “그런 얘기는 하지 마시라”며 “곡성 얘기를 하려고 온 것이지 전남대 얘기를 하러 온 것이 아니다”며 핀잔을 주었다. 사람들 앞에서 노학자의 뺨을 친거나 다름없고, 오만불손한 태도가 아닐 수 없다. 이 총리는 대한민국 총리의 품격을 운동권 학생 수준으로 끌어내렸다. 이에 따라 총리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국민들의 따가운 여론에 못이겨, 이해찬 총리는 사의를 표명하고 지난 3월 13일 결국 노무현 대통령은 이를 수용했다.
이는 인간 이해찬이 스스로 자초한‘극성즉패’라 할 수 있겠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