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5,883 발견방치공 중 원상복구는 2,422개 불과
수질오염 위험이 높은 불법지하수시설이 전국에 13만개 정도 방치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정부가 지난해 말까지 총 39,951개의 방치공을 발견하고도 32,774개만 원상복구하고, 나머지 7,177개는 원상복구을 하지 못한 채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자유선진당 소속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이 수자원공사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방치공 처리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발견된 방치공을 원상복구하지 않은 지역은 충남이 총 3,461개로 가장 많으며, 경기도 1,636개, 경남 919개, 강원도 248개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지역이 유난히 원상복구비율이 낮은 것에 대해 권 의원은 “방치공 설치 원인자가 불분명한 이유도 있지만, 지자체 재정상태가 열악한 데 원인이 있다”고 지적하고, 수질오염 원인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국고지원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편, 국토해양부가 지난 7월말에 작성한 ‘불법지하수시설 관리방안’의 폐공실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개발실패공의 47.1%만 신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방치공뿐만 아니라, 개발중인 지하수에 대한 감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권 의원은 “방치공 발생시 단순 원상복구보다 지하수 수위?수질 관측용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안까지 고려한다면, 개발업자의 실패공 신고율도 높이고, 원상복구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방치공 신고 및 처리현황>
|
구 분 |
신고 방치공 |
원상복구공1) |
미복구공 |
|
계 |
39,951 |
32,774 |
7,177 |
|
서울특별시 |
625 |
612 |
13 |
|
부산광역시 |
567 |
492 |
75 |
|
대구광역시 |
393 |
388 |
5 |
|
인천광역시 |
2,388 |
2,236 |
152 |
|
광주광역시 |
2,485 |
2,463 |
22 |
|
대전광역시 |
673 |
618 |
55 |
|
울산광역시 |
215 |
179 |
36 |
|
경기도 |
18,041 |
16,405 |
1,636 |
|
강원도 |
1,758 |
1,510 |
248 |
|
충청북도 |
1,113 |
996 |
117 |
|
충청남도 |
5,883 |
2,422 |
3,461 |
|
전라북도 |
585 |
553 |
32 |
|
전라남도 |
1,217 |
998 |
219 |
|
경상북도 |
459 |
284 |
175 |
|
경상남도 |
3,106 |
2,187 |
919 |
|
제주도 |
443 |
431 |
12 |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