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R&D특구가 진정한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대덕R&D특구가 진정한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대전시청을 방문한 자리에서 “대전.충남은 과학기술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는 보도를 접했다.
대통령 말씀 그대로 대전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중심축이 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R&D특구 육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이미 대덕특구 지정 과정에서 정부와 정치권에서 이해한 부분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2005년 7월 대덕연구개발특구특별법이 발효된 지 채 5년도 되지 않은 기간 동안 로봇랜드, 자기부상열차 유치실패에 이은 첨복단지의 대전유치 무산으로 대덕특구내 연구소들의 이탈 움직임이 가속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대덕특구의 위상과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당초 특구지정 취지와 목표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상황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대덕 이외의 지역에 또 다른 R&D특구가 들어설 경우 집중력 분산으로 대덕은 R&D특구로서의 제 기능과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어떻게 얻어낸 ‘대덕R&D 특구'인데 상황이 이 지경에까지 오게 된 것인지 답답하기 그지없다.
본 후보가 대전시장 재임시절, 대전 시민과 함께 온몸을 던져 이루어낸 것이 '대덕R&D특구' 지정이다. 타 시도의 집요한 분산 요구에도 불구하고 대(對) 중앙정부와 정치권을 상대로 한 투쟁과 설득을 통해 얻어낸 결과였다.
2015년까지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한다는 기본방향이 설정된 '대덕R&D특구'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가경제를 이끌어 갈 대한민국 과학기술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강조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