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섭 서산시장, ‘모월지구 개척단 특별법제정’ 주장
이완섭 서산시장, ‘모월지구 개척단 특별법제정’ 주장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8.03.09 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청소년 개척단 아픈 역사 어루만져야”

이완섭 서산시장이 서산희망공원 내 무연묘를 찾은 자리에서 과거 청소년 개척단의 아픈 역사를 어루만져야 한다며 특별법 제정과 추모비 건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8일 이완섭 시장은 서산시 인지면 모월리 소재 ‘서산희망공원’ 내 모셔진 납골묘의 무연총 찾아

지난 8일 이 시장은 서산시 인지면 모월리 소재 ‘서산희망공원’을 찾아 이곳에 모셔진 납골묘의 무연총을 찾아 과거 ‘대한청소년 개척단’으로 끌려와 강제노역 등 비 인간적인 삶을 살아왔던 119위의 넋을 기리고 생존해 있는 개척단과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빠른 시일 내에 추모비를 세우고 특별법 제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청소년 개척단과 이들의 집단 정착지인 ‘양대-모월지구 자활정착사업장’은 지난달 21일 모 방송사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들은 60년대 사회 명랑화 사업의 하나로 당시 정부는 부랑아들을 대상으로 갱생의 기회를 제공한다며 무고하게 강제로 잡혀왔다.

모월지구 개척단 특별법제정(이완섭 시장 모습)

당시 정부는 이들을 부랑아와 깡패, 윤락여성들로 몰아 지난 과오를 씻고 국가 재건사업에 참여한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강제 합동결혼식을 올리기도 했었다.

특히 이들이 피땀으로 일궈온 토지는 전부 국유지로 관리되고 있어 강제동원 되었던 개척단원들은 아직도 소작농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이 시장은 “국유지로 관리되고 있는 이들이 일궈온 토지가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무상분배 되거나, 현재 연부취득하고 있는 토지 매매금액에서 강제 노역된 인건비는 제외되어야 된다고 주장하고 이를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며, “이들의 아픈 과거를 치유하기 위해 납골묘가 있는 무연총에 추모비를 건립하고 이들의 넋을 기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산시는 오는 15일 시청에서 피해자과 간담회를 갖고 향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며, 서산시 인지면 양대-모월지구 자활정착사업장은 882필지 263만여 평방미터(2,628,884㎡, 798,262평) 규모로 경작자들이 60년대 말부터 무상분배를 주장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