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김현미 세종시의원(소담동, 더불어민주당)은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의 암 환자 및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애프터케어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암이 국민 사망 원인 1위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시의 암 생존자를 위한 지원 사업이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설치, 가임력 보전 지원 조례 제정, 국공립어린이집 암 생존자 자녀 우선 입소 등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제안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 통계를 인용하여 2023년 기준 암 유병자가 258만 명이 넘어 국민 20명 중 1명이 암 환자이며, 이는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또한, "의료 기술 발달로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 72.9%로 증가하고 있지만, 암 치료 후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는 생존자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암을 극복하고 완치 판정을 받은 사실은 매우 기쁜 일이지만, 치료에만 집중한 시간이 끝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 할 때, 이들은 경력 단절과 생계 불안, 주위의 불편한 시선과 맞닥뜨리게 된다"며 암 생존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강조했다.
또, 「암관리법」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암 생존자를 위한 사업은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세종시에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가 없는 점을 지적하며, 인구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단독 설치가 어렵다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사례처럼 대전권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세종시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세종시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장했다.
「모자보건법」상 암 환자 가임력 보전을 위한 지원을 바탕으로 "조례를 제정하여 항암 치료 등으로 임신이 어려운 암 환자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영유아 보육이 절실한 암 생존자를 위해 보육 조례를 개정하여 국공립어린이집에 암 생존자 자녀 우선 입소 등의 혜택을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김현미 의원은 "의학 기술이 발달해도 아직 65세 이상 인구 중 7명당 1명이 암 유병자라는 통계가 있다"며, "이러한 문제를 극소수의 개인적 불행으로 치부해서는 안 되고, 사회 전체적인 문제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나아가 "암 치료라는 어렵고 힘든 과정을 극복한 암 생존자들이 또 다른 고통 없이 사회 복귀를 할 수 있도록 세종시가 의료뿐만 아니라 문화체육, 경제, 보건 등 지역 사회 모든 분야를 연계하여 암 생존자 지원 정책을 서둘러 마련할 것"을 촉구하며 5분 자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