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는 15일 한국프레스센터(서울)에서‘2016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대전시와 대한교통학회, 중앙일보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국토교통부에서 후원한 행사로 교통전문가와 트램 관련 입법을 추진 중인 조정식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을 비롯한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노면전차 트램 도입에 따른 교통 및 도시발전 정책 방향과 성공적인 정책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기조연설과 주제발표, 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기조연설을 맡은 권선택 시장은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계획을 설명하고, 트램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대중교통혁신의 의미를 갖고 도시의 틀을 바꾸고 문화를 바꾸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지난 10일 도시철도법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상임위 의결을 마쳤고 철도안전법과 도로교통법도 입법 발의된 상태로, 법제도 정비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대전의 도시철도2호선 트램 건설사업도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권 시장은 “이제는 대한민국에 맞는 새로운 모델의 트램이 만들어져야 할 때로 대한교통학회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나서줘야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송상석 녹색교통운동 사무처장은 기후변화를 대비한 녹색교통수단으로 하루빨리 국내에 트램이 도입되었으면 좋겠고 도입에 앞서 이용시민 등 시민단체와 운영자 등 모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형태의 협의체가 구성되어 시민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되기를 바라며 이용시민이 편리해야 도입에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주제발표에서 강조되었던‘시민참여와 이해당사자간 협의’를 위하여 그동안 교통전문가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대전 트램 포럼을 이용시민, 사회단체, 정치인 경제계 등 각계각층이 모두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 형태의 미래교통포럼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도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을 통해서 대전트램을 전국적인 의제로 만들어 성공적인 도입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며 “대전형 트램 운영 모델을 만들고 100년을 내다보는 대중교통혁신 방향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