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견폐요(桀犬吠堯)는 사기(史記)의 회음후편(淮陰侯篇)에 나오는 고사이다.
요(堯)는 흙을 높이 쌓고 그 위를 평평하게(兀) 만들었다는 데서, ‘높다’ ‘요임금’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진나라 말 때 괴통이라는 책사 있었다. 어느 날 괴통은 한신을 찾아가 한 가지 제안을 했다.
“지금 항우는 남쪽을 차지하고 있고, 유방은 서쪽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의 세력은 서로 우열을 가리지 못할 정도로 팽팽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왕께서 누구와 연합하느냐에 따라 천하의 대세는 좌우 될 것입니다. 확실한 것은 항우가 망하면 대왕의 신변은 위태롭게 될 것입니다. 이 기회에 천하를 셋으로 나누어 동쪽을 대왕께서 차지하고 대세를 관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길일 것입니다.”
이 말을 들은 한신은 며칠을 두고 고심하다가 결국은 포기를 하고 말았다. 얼마 후 유방에 의해서 천하가 통일됐다. 그리고 한신은 역적으로 몰려 죽음을 당했다. 한신은 죽음 직전에 이르러 “나는 괴통의 말을 들었어야 했다. 참으로 후회스럽다”는 말을 남겼다. 이 말을 전해들은 유방은 괴통을 잡아들였다. 그리고 그는 괴통에게 물었다.
“네가 한신에게 반역할 것을 권고한 것이 사실이냐?”
“예 그렇습니다. 신이 반역하라고 일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제 말을 듣지 않아 죽음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화가 난 유방은 그를 기름 가마에 삶아 죽이라고 명했다. 이때 괴통은 원통함을 하소연하며 말했다.
“도척 같은 도둑놈의
개도 요임금을 보면 짖습니다(桀犬吠堯). 요 임금이 어질지 못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개는 원래 주인 이외의 사람을 보면 짖는 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개가 짖는다고 탓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저는 한신만을 알고 있었을 뿐 폐하는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한신에게 충성을 다한 것입니다. 이런 저를 삶아 죽인다면 세상 사람들은 폐하를 비웃을 것입니다.”
유방은 괴통의 말을 듣고 한참을 망설인 끝에 살려 주었다. 이 때부터 걸견폐요는 ‘개는 주인만을 섬긴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요즘은 여러 주인을 섬기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낯선 사람을 보고 짖기보다는 여기저기 꼬리치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특히 정치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적과 동지가 수시로 바뀌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선거철만 되면 철새 정치인 소리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온다.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말이 있듯이 일은 반드시 바른 데로 돌아가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 때문에 허상과 미몽에 사로잡혀 철새가 돼서는 안 된다. 세상이 각박해 질수록 우리 모두는 마음의 중심을 잡고 의리와 정도를 지켜야 한다. 그것이 바로 걸견폐요의 교훈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