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이응패스 1년, 대중교통 이용 13% 증가"
"세종 이응패스 1년, 대중교통 이용 13% 증가"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5.10.16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세종연구실 연구 결과 발표
세종시청사 전경
세종시청사 전경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형 대중교통 정액제 이응패스가 도입 1년 만에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를 견인하면서 시민 교통편의를 크게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세종연구실이 수행한 ‘이응패스 도입 효과 및 요금 특성 분석’ 연구와 전문 여론조사기관에서 시민 1,0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올해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는 대면·유선전화를 통해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13일까지 진행됐다.

분석 결과 지난해 9월 이응패스를 도입한 이후 세종시의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 건수는 지난 8월 기준 지난해 동기간보다 13.1% 증가했다.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6만 9,539건이었던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량이 2024년 9월∼2025년 8월에는 7만 8,638건으로 크게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이응패스에 가입한 설문 대상자 75%는 ‘대중교통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됐다’고 응답했고 61%는 ‘자가용 이용이 줄었다’고 답했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난 이유로 응답자 72%가 ‘이응패스 도입’을 꼽았고 ‘무료 환승제도(9%)’, ‘버스노선 개편(6%)’이 뒤이으면서 이응패스가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를 이끌었다는 것이 증명됐다.

이응패스 이용자들의 평균 환급액은 매달 2만 4,000원 수준으로, 유료 가입자는 실질적으로 1만 5,000원의 교통비를 절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청소년, 장애인, 고령층 등 교통약자 계층에게 제공되는 무료 이용 혜택은 교통복지 형평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세종연구실의 분석에 따르면 이응패스 시행 이후 자가용 차량 운행은 하루 5,000대 가량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연간 약 40억 원의 교통사고 비용이 절감되고, 6억 원 상당의 대기오염 저감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에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이응패스로 절감한 교통비를 생활비(50.3%), 여가·취미활동(14.2%) 등에 재사용하면서 지역 소비가 확대된 것이다.

또 이응패스 예산 64억 원을 투입해 지역에 21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11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대중교통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해 버스 노선과 배차 간격을 최적화하고 어울링과 수요응답형버스(DRT) 등 다양한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강화해 이동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