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호 의원, 세종시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도시’로 나아가야
유인호 의원, 세종시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도시’로 나아가야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5.09.23 2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첨단기술·시민 참여 기반 ‘복원력 중심 도시’ 모델 제시
- "국제 인증 성과, 낮은 시민 체감 안전지수로 상쇄" 지적
- 읍면지역 노후 건축물 안전성 강화 제도화 촉구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유인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보람동)이 23일 세종시의회가 주최한 ‘시민안전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해 세종시의 진정한 안전도시 도약을 위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유인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보람동)

이번 포럼은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출범 이후 첫 공식 행사로, 세종시의 미래 안전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유 의원은 세종시가 2018년 국제안전도시 인증, 2023년 재인증에 성공하며 국제적 위상을 높여왔지만, 여전히 시민들의 체감 안전 수준은 낮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행정안전부의 지역안전지수를 근거로 들며 “세종시는 생활안전 분야 5등급, 교통사고 분야 4등급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국제 인증에 걸맞은 실질적인 안전 기반을 아직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유 의원은 첨단기술과 시민 참여를 핵심으로 하는 ‘복원력 중심 도시’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AI와 Io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안전망을 구축해 재난을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등 시민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도시의 복원력(Resilience)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호주의 ‘Resilient Sydney’와 미국 뉴욕의 ‘Red Hook 프로젝트’ 등 주민 참여형 해외 사례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유 의원은 읍·면 지역의 노후 건축물 비율이 38.4%에 달하는 현실을 언급하며 “정기적인 안전 점검과 보수·보강 지원을 제도화해 노후 건축물의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유 의원은 “세종시는 이제 ‘행정수도’라는 명칭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첨단기술과 시민 공동체, 그리고 체감형 안전 정책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재난에도 흔들리지 않는 진정한 안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