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대형 산불 사례 상기하며 기술적 한계 지적
- 미국 캘리포니아주 성공 사례 제시하며 AI 도입 필요성 역설
- "무인 시스템 도입은 생존과 안전의 문제" 강조하며 관계자들의 노력 촉구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천안시의회 조은석 의원(백석동, 민주당)은 13일 제280회 정례회 5분 발언을 통해 인명 피해 최소화와 신속한 초기 진화를 위해 AI 기반 무인 산불 예방 및 대응 시스템 도입을 천안시에 강력히 촉구했다.
조 의원은 지난 3월 말 발생했던 경북 지역의 대형 산불을 언급하며, 당시 산불이 빠르게 확산된 근본적인 원인으로 '산불의 초기 탐지 및 확산 경로 예측에 대한 기술적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만약 산불 발생 초기부터 AI가 열화상 CCTV, 위성영상, 기상 데이터 등을 종합 분석하여 조기경보를 발령하고 확산 경로를 예측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했다면 피해 규모를 많이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천안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자체는 주민이나 산불감시원의 신고 또는 CCTV를 통해 산불을 발견하고 초기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조 의원은 이 시스템의 한계에 대해 "대부분 사람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해야 하므로 광범위한 지역을 감당하기 어렵고,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는 탐지율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천안시에 산불 감시 전용 CCTV 14대가 설치되어 있지만, 인력 없이 산불 식별 및 초기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AI 기술 도입을 통해 산불 대응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해외 사례로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들었다.
캘리포니아주는 드론과 AI 시스템을 산불 대응에 전면 도입하여 AI가 1,000대 이상의 카메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산불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드론과 소방 자원을 신속히 배치하고 있다.
그는 "AI가 적용된 4개월간 발생한 화재 10건 중 4건은 911 신고 전에 AI가 먼저 감지했으며, 새벽 2시에 발생한 국유림 산불을 미리 포착하고 경고해 초기 진화에 성공하기도 했다"고 밝히며 AI 시스템의 효과를 강조했다.
조 의원은 천안시의 산림 면적이 충남 15개 시·군 중 4번째로 넓고, 작년 총 7건의 산불로 1.74ha의 피해가 발생했음을 언급하며, 현재의 산불 대응 예산 배정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2025년 산불 관련 총사업비 21억 3천만원 중 인건비가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산불 진화차 및 산불 소화시설에는 약 16%만이 배정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무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잘 활용하고 있는 우수 사례를 참고하여 천안시에 맞는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이를 구축할 수 있는 예산도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은석 의원은 마지막으로 "무인 시스템의 도입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과 안전의 문제"라고 역설하며, "산불은 자연재해지만, 그 대응은 인간의 의지와 시스템에 달려있다.
언제까지 불구덩이에 무작정 사람을 밀어 넣을 수는 없다. 이제 기술이 앞장설 차례"라고 강조했다.
그는 "천안시가 AI 기반 드론 및 CCTV를 활용한 무인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면, 산불 대응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산림 자원을 보호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관계자들의 깊은 고민과 노력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