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과 증오의 87년 체제 종식, 새로운 대한민국 견인 적격자 평가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막 오른’ 장미대선 국면, 충청 역할론에 관심이 쏠린다. ‘킹’이든 ‘킹메이커’든 충분한 역량을 갖춘 인물이 대거 포진, 전체 판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태흠 충남지사, 국민의힘 장동혁 의원 등은 개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출마 요구가 고개를 들어, 최종 선택이 주목된다.
장미대선 충청 역할론이 고개를 드는 배경에는 지역의 독특한 정치적 특성이 있다. 역대 선거에서 캐스팅보트를 쥐어 온, 당락을 좌우할 ‘키’라는 분석이 그것이다. 또 영호남 패권 정치에서 자유로워 갈등과 증오, 대립의 정치 종식에 제격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87년 체제 탈피, 하나 된 대한민국을 구상하고 이끌어 갈 최적의 정치적 토양을 갖췄다는 것.
이 같은 기본 토양 위에선 충청 인사 중, 가장 관심을 끄는 이는 김태흠 충남지사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 중 맏형 격으로, 행정과 정치, 위기관리 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검증을 마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김 지사는 충청의 대표 정치인인 JP(김종필 전 총리) 슬하에서 정치를 시작, 이완구 전 충남지사, 김용환 전 장관 등 충청 정치의 거목과 정치적 파트너 또는 부자(父子)로 성장해 왔다. 충청을 넘어 한국 정치의 거목으로 성장할 수 있는 탄탄한 뿌리를 갖췄다는 것이다.
또 충남의 도백으로 도정을 이끌며 다양한 도정 성과를 이뤄냈음은 물론, ▲주4일제 상용화 ▲워케이션 허브 조성 등을 통해 일·가정 양립에 앞장선 점은 그의 행정 감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일명 ‘김태흠의 생각’ 등을 통해 국가 위기 상황에 대해 초당적 해법을 제시해온 점 등 역시 그의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국민의힘 장동혁 의원 역시 장미대선 정국 이목을 끄는 인사 중 하나다. 재선의 짧다면 짧을 수 있는 정치경력에도 불구하고, 당 수석 최고위원, 사무총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정치적 볼륨을 키웠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정국땐 ‘촌철살인’의 논리로 우파진영의 주장을 뒷받침, 전국적 팬덤을 확보하며 차세대 주자로서의 역량을 입증받았다. 특히 서울대 출신으로 양과(사법, 행정고시)패스 후 부장판사를 역임하며 쌓아온 합리적이고 스마트한 성격은 정치권 ‘세대교체’ 등판론과 맞물려 적잖은 시너지를 낼 것이란 평가다.
지역 정치권의 한 유력인사는 “충청에는 김 지사와 장 의원을 비롯해 중앙정치권의 중심에 서도 손색이 없는 다양한 인사들이 있다”며 “이번 장미대선에서 충청의 정치적 볼륨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인사들의 활약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