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예산군, 지방소멸 역주행...군민 숙원사업 연이어 해결
민선8기 예산군, 지방소멸 역주행...군민 숙원사업 연이어 해결
  • 권상재 기자
  • 승인 2024.09.09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산상설시장 활성화 및 충남방적, 덕산온천관광호텔 재개발 등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예산군이 민선8기 3년차를 맞아 예산상설시장 활성화와 충남방적의 새활용 방안 마련, 덕산온천관광호텔 매입 성공 및 재개발 추진 등 지방소멸시대 역주행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예산군청사
예산군청사

군은 민선8기 출범 이후 예산상설시장을 더본코리아와 함께 새롭게 단장해 지난해에만 370만 명, 올해는 상반기만 2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는 명소로 탈바꿈시켰고, 지난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예산 맥주 페스티벌 개최로 3일간 35만 명이 찾았다.

이와 함께 군은 지난 6월 예산읍 창소리 일원 또 하나의 군민 숙원사업인 충남방적을 전국 최대의 복고(레트로) 문화복합단지 지원시설로 조성하기 위한 국토교통부 주관 ‘민관협력 지역상생협약 공모사업’에 충남도 유일하게 선정돼 125억 원(국비 50억 원, 지방비 50억 원, 민간자본 25억 원)을 투입해 ‘웰컴센터’와 기념 광장, 주차장 등 문화복합단지 관련 시설을 오는 2026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그동안 군은 민간기업인 ㈜더본코리아와 상호신뢰를 토대로 수많은 민관협력을 통해 난제를 함께 극복해 왔으며, 특히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민간이 주도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행정에서 사업을 구체화해 새로운 아이템(구상)을 가지고 나온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군은 하반기 기획재정부 지역활성화 투자펀드를 통해 ▲전통주 증류장 ▲맥주 브루어리(공장) ▲파머스 마켓(농부 시장) ▲축제공연장 ▲카라반스테이(캠핑카 구역) 등을 구성해 전국 최대의 레트로(복고) 문화복합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군은 이 가운데 촬영 스튜디오 시설 구축에 먼저 시동을 걸었으며, ENA 신규 예능 프로그램 ‘백종원의 레미제라블’ 촬영장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충남개발공사는 지난 7월 25일 98억4000만 원에 덕산온천관광호텔을 매입했으며, 군은 이번 매입을 계기로 덕산온천이 또 한 번 주목받는 관광지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남도와 예산군의 협력 속에 지난 5월에는 덕산온천관광개발 사업이 충남도 투자사업평가위원회 심의 및 이사회 의결에서 ‘적정’ 평가를 받았으며, 지난 7월 25일 호텔 부지 매입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군은 민선8기 출범 이후 우량기업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인 가운데 국내 바이오 기업의 선두주자인 ㈜셀트리온과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협약에 따라 셀트리온은 예산제2일반산업단지 9만9291㎡ 부지에 총 3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군은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조성사업 추진에도 박차를 가해 삽교읍 상성리 일원인 내포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내 연구단지에 조성 중이며,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군과 충남도의 풍부한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의약품·화장품·건강식품 등의 제품 개발 및 생산과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을 구축한다.

최재구 군수는 “민선8기 출범 이후 연이은 군민 숙원사업 해결의 단초가 마련돼 기쁘고 무엇보다 덕산온천관광호텔 사업 추진을 위해 통큰 결단을 내리고 적극적으로 추진해주신 김태흠 도지사께도 깊이 감사드린다”며 “덕산온천관광호텔 개발 사업은 큰 어려움이 있어 공약사업에도 선뜻 올리지 못한 숙제와도 같았는데 지난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 돼 군민을 대표해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와 환영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충남방적 역시 새로운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사업을 추진해 예산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이자 보물단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방 소멸과 인구 감소가 화두가 되는 시대 예산군에서 역행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는 군민은 물론 많은 분들의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