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대전, 전남, 경남 3각 체제 구축" 약속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대전이 ‘우주산업 클러스터’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되면서, 이장우 대전시장의 정치력에 지역사회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대전을 포함한 우주산업 3각 체제 구축을 약속한 이면에는 이 시장의 전방위적 노력이 있다는 평가다.
실제 이 시장은 대전시장직 인수위 단계부터 대전을 우주산업의 허브로 키우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대선과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항공우주청 입지를 둘러싸고 불거진 각종 잡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우주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광폭행보를 펼쳐온 것이다.
특히 대전의 ‘우주산업 클러스터’ 대상지로 사실상 확정은 이 시장 취임 한달여 만에 전해진 낭보라는 점에서, 향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이 시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직접적 소통을 통해 정부의 긍정적 응답을 유도하고,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정진석 국회부의장 등과 적극적 협력으로 집권여당의 ‘지원사격’도 이끌어냈다.
당 최고위원, 대변인 등을 지내며 쌓아온 중앙정치 인맥을 최대한 동원해 대전에 최대한 이득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이지 않는 노력’을 경주해 성과를 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서는 대전이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한 축으로 확정된 이면에는 이 시장이 갖고있는 ‘정치력’이 크게 한몫을 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목표한 바는 반드시 이뤄내고 마는 ‘탱크’같은 강한 추진력과, 협상 상대방을 내편으로 만드는 유연함과 협상력, 각종 잡음에 좌고우면하지 않는 소신 등 이 시장만의 특장점이 일궈낸 성과라는 것.
이 시장 노력의 결과로 윤 대통령은 “우리는 세계 7대 우주강국·우주경제 비전을 선포했다. 이를 위해 대전의 연구·인재개발, 전남의 발사체 산업, 경남의 위성 산업 3각 체제로 구축해 나사(미국 항공우주국)를 모델로 한 우주항공청을 설립해서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앞서 이 시장은 정부가 대전을 포함한 3각 체제로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는데, 그 결과물이 윤 대통령의 ‘입’을 통해 확인 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