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선거 불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쇼크와 관련해 차기 대선에서 여권 유력 대선후보인 한나라당 박근혜 前 대표와 야당 후보군인 노무현 재단 문재인 이사장이 가장 피해자인 반면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최대 수혜자인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문 이사장에게 밀리고 있던 형국에서 손 대표가 안 원장과 박원순씨를 영입하려고 했던 점을 생각할 때 이들은 친 손학규 계로 분류되면서 내년 대선에서도 야권연대의 중재자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 이 시나리오대로 된다면 손 대표는 당 대표를 두번이나 맡고 있는 검증된 후보로서 대선후보 선정과정에서 유리할 전망이다.
손 대표는 2012년 대선에서 박원순 세력이 지원해준다면 자력으로 문 이사장 등을 제치고 3자 구도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야당 대선 후보는 결국 민주당에 입당해서 경선해야 한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다.
최근 지지율이 하락하며 당내 입지가 약화되고 있던 손 대표가 문재인 세력에게 압박을 받아왔지만 박원순,안철수 원장이 구세주로 등장했다는 것이 정치권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반면 영원한 대선후보의 이미지를 갖고 있던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오세훈 사퇴파동에 이어 안 원장 사태 등 연이은 악재가 발생돼 지지율이 급락했다. 더불어 주식시장에서도 관련주가 하한가를 기록하는 등 안 風에 무너져 현실에 안주한 정치 스타일로는 대권을 잡을수 없다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박근혜 대세론은 무지개였나? 벌써부터 회의적인 분위기다. 정치는 낙엽(정치인)이 가만히 있었도 바람(민심)이 가만두지 않는다는 말을 되새기게 된다. 정치에서 '큰 줄기에 휩쓸려가는 것이 정치 기상도'라고 말하는 것은 인위적으로 안된다는 의미이다.
안 風이 시사하는 점은 젊은 유권자들은 묵은 김치(기성 정치인)대신 겉절이(정치신인)를 선택했다는 것으로 참신한 인물 즉 새로운 인물을 원한다는 것이다.
엘리트 중산층에서 안 원장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의대 BT에서 IT로 변신해 성공 경영자로, 시민운동가로 생활정치에 참여하는 모습이 그 이유일 것이다. 주식시장 등에서 의식이 깨어있는 후보, 앞선 지식인으로 높게 평가받는 것은 무엇일까? 답은 자기 성찰이다.
게다가 안 원장이 시대에 역행하는 한나라당이라고 비판한 것은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는 선진당에게도 전하는 메세지가 담겨 있다. 통합 선언은 했지만 아직까지도 국중련과 자존심 싸움질이나 니탓네탓이라는 밥그릇 싸움에만 몰두하고 있다. 안 風은 기존 정당에게 '변화해야 살아 남을수 있다'는 민심의 경고 메세지를 남겼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자성하는 계기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