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도지사가 중국 우한 교민의 수용시설이 천안에서 아산으로 변경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양승조 지사는 29일 오후 5시 도청 프레스센터서 기자회견을 열고 "천안 지정이 확정적인 발표가 아니었고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의 5가지의 평가항목에 따라 아산이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지사에 따르면, 국가시설이면서 1인 1실 수용, 방역과 의료시설 협력, 공항 인접, 주민 밀집시설 인접성 등을 평가한 결과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이 1위,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 천안 우정공무원교육원이 공동 2위로 선정됐다.
공동 2위로 천안이 선정됐지만 충남도에 집중되는 것을 고려해 진천으로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산으로 변경된 것에 양 지사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입김이 있었냐는 의혹에 대해선 “모든 것을 걸고 말씀드리겠다. 천안으로 결정됐던 걸 아산으로 변경하는 건 도지사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평가 항목 중 아산이 1위를 해서 선정된 것일 뿐”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양 지사는 “임시 수용시설에 오는 분들은 폐렴 증상이 전혀 없는 사람들이지만 국가적 위기에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아산시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5년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 감염병 차단을 선도한 경험이 있다”며 “임시생활시설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
한편, 우한에 있는 교민과 유학생 700여 명은 30일, 31일 이틀에 걸쳐 전세기를 타고 김포공항에 도착하면 아산과 진천에서 2주간 격리돼 임시생활을 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