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첫 인간형 로봇 '휴보(HUBO)'가 지역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로봇랜드 대전 유치를 위한 첫 공식 활동을 시작했지만 대전지역 국회의원들의 반응은 회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의원들은 "과거 정치적 힘의 논리에 따라 정해졌던 과거와 달라졌다" 며 정치적인 해결보다 시 당국의 출향인사 중앙인맥과 유치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면서 한발 빼고 나섰다.
지난 93 대전엑스포 개최를 통하여 대전 발전의 교두보를 마련한 것 처럼 대전 발전의 핵심동력이 될 '대전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첫 일정으로 16일 오후 3시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로봇랜드 유치위원회' 출범식과 '휴보(HUBO)'에게 명예홍보대사 위촉장을 주고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이날 대전 지역 국회의원 등 정·관계 인사 9명을 고문으로 위촉하고 학계 7명·정부출연 및 특구 기관장 7명·산업계 10명·유관기관 6명 등 모두 39명으로 유치위를 출범시켰다.
유치 위원장에는 이날 불참한 서남표 KAIST 총장이 만장일치로 선임됐다.
특히 이날 출범식에는 열린우리당 대선후보인 김원웅 의원만 빼고 지역 국회의원 5명이 참석해 대덕 연구개발 특구의 선도 산업으로 로봇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적극 동참 했다.
박병석 의원(대전 서갑)은 "과거에 비해 정치적 힘이 낮아졌다" 며 "산자부장관을 만나 보니까? 쉽지가 않아 보인다"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대전과 함께 유치 경쟁을 하고 있는 인천은 이윤성(인천 남동구갑) 국회 산자위원장 지역구 라며 새로운 접근방법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은 "로봇랜드가 테마파크이지만 산자부가 산업정책 측면을 고려할 가능성이 크므로 기업참여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권 의원은 대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면서 구체적,투자계획을 명시 해야한다 며 10여개 도시가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으므로 독창적인 기획안도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선병렬 의원(대전 동구)도 유치 제안서를 받는 순간 유치결정이 정해진다 며 진작 유치위원회를 구성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독특한 아이디어로만 갖고 성공하기 어렵다고 재검토를 요구하기도 했다.
박 성효 시장은 "지역 국회의원 5명이 국책사업 유치를 위해 유례없이 한 자리에 모인 만큼 그 어느 때보다 기대가 크다"며 "대전이 로봇관련 인프라가 가장 우수한 것은 객관적 사실인 만큼 반드시 로봇랜드를 유치해 이를 지역경제를 일으키는 원천으로 삼자"고 당부했다.
시는 앞으로 국내 유수의 건설기업 및 테마파크 운영 기업, 은행 등과 포괄적인 MOU를 체결하고 오는 23일 시립미술관에서 '로봇과 문화 포럼' 개최, 시민 서명운동 등을 통한 유치 분위기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로봇랜드 유치 선정 시기는 산업자원부가 오는 25일까지 사업제안서를 접수받아 8월 말 예비사업자 선정을 하고, 내년 2월까지 예비 타당성조사 실시후 사업 규모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