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 방송시대의 도래, 가속화”
“입체 방송시대의 도래, 가속화”
  • 장영래 기자
  • 승인 2007.01.22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특허출원 최근 3년 사이 2.8배로 급격히 증가 -

시청자가 현장에 있는것과 같은 3차원 방송의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입체방송 분야의 특허출원이 2002년에 27건에 불과하던 것이 2004년에 74건으로 2.8배나 증가했으며,국내 출원에 비해 외국인의 출원증가가 눈에 띄게 늘어난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입체방송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은 비싼 가격 때문에 의료산업과 같은 특정산업분야에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정도이나 앞으로 방송'통신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점차 일반산업으로 확대되면서 대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출원인을 국적별로는 국내 출원인이 전체 특허(206건) 중 75%(153건)를 차지하고, 외국인의 출원은 26%(54건) 이다.

특히 내국인 출원은 삼성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엘지전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중소기업의 출원은 매우 저조한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2004년도에만 22건(41%)을 출원했으며 현저한 출원증가를 기록하는 외국인 출원으로는 캐논(일본),샤프(일본), 필립스(네덜란드), 도시바(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체방송 분야에서 해외 대기업들의 출원증가는 다가올 기술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세부 기술별로 보면,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또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1)이 전체의 31%(66건)로 가장 많았고 입체 비디오 편집기술2)은 23%(48건), 입체 DMB 방송기술3)과 입체 비디오 획득기술4)이 각각13%(26건), 멀티뷰(또는 다시점) 입체시스템 기술5)이 11%(22건), 입체 비디오 복호화기술6)이 9%(18건)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외국 기업으로 샤프(일본)가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필립스(네덜란드)가 입체 비디오 편집기술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한편 입체방송이란, 시청자가 마치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방송으로써, 기존의 방송미디어가 단순히 청각과 시각의 표현에 치중하였다면 입체방송은 가상현실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