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새해
  • 한선화기자
  • 승인 2007.01.04 08: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해  
                               <구  상 >
새해 새아침이 따로 있다드냐?

신비의 샘인 나날을
너 스스로가 더렵혀서
연탄빛 폐수를 만들 뿐이지
어디 헌 날, 낡은 시간이 있다드냐?

네가 새로워지지 않으면
새아침을 새아침으로 맞을 수가 없고
결코 새날을 새날로 맞을 수가 없고

너의 마음안의 천진(天眞)을 꽃피워야
비로소 새해를 새해로 살 수가 있다.


*구상(1919~2004). 함남 원산 출생. 1946년 시지 <응향凝香> 사건으로 필화를 입고 월남. 시집으로 『具常』,『焦土의 詩』,『말씀의 實相』,『까마귀』,『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구상 시전집』, 『다시 한번 기회를 주신다면』등이 있음. 


*년 말의 지는 해를 보겠다는 사람보다도 새해 아침 해돋이를 보겠다는 사람들로 올해에도 북적됐습니다. 사라짐의 감사보다는 나타남에 더 많은 기대를 갇는 것은, 사람은 항상 더 많은 것을 도전하는 욕심이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죄는 대개 궁핍 때문이 아니라 포만 때문에 저질러진다네, 무엇을 가지려고 하는 사람이 아니라 무엇을 잃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이 훨씬 더 쉽게 남을 죽이지”(이인화 『영원한 제국』)
내 것도 아닌 것을 내 것인 냥, 허우적거리는 것을 별것도 아닌 우리들이 바라보았을 때도 애처로운데, 만물창조와 소유주로서 지배를 하는 신(神)들이 바라보면 얼마나 가소로우겠습니까? 어제의 해도, 오늘 아침의 해도 똑 같습니다. 다만 우리가 약속하여 부르고 있는 날짜숫자만 다를 뿐입니다. 오늘은 내일의 과거입니다. 항상 과거에 발목 잡히고, 과거의 꼬리를 붙잡고 늘어지는 악순환에서 빨리 벗어나는 새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