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보건복지여성국의 행정사무감사 업무보고에서 대전의 재가노인 복지시설이 타 광역시 중 가장 열악하며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관리실태가
엉망으로 장애가 되는 장애인
편의시설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 김인식
시의원
이날 대전시의회
교육사회위원회 김인식 의원(비례. 열린우리당)은 16일, 대전 동구와 중구 지역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2명이 독거노인이며 전국 노인
빈곤 위험도가 서울을 포함한 광역시 중 최고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대전시의 거동불편 독거노인 총 1만5,651명 가운데 4.8%에 해당하는 763명에 불과하다며 식사배달 서비스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2005년도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 현황자료에 의하면 재가노인 복지시설이 타 광역시 중 가장 열악하다며 재가노인
복지시설을 확충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대전시가 자체 평가한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현황 평가 자료를 공개하고 120점 만점에 대전의 평균점수는 86.23점으로 5개 구청을
비롯해 시청은 103.01점으로 가장 았고 동구77.25점,중구 86.38점, 서구 86.52점, 대덕구 82.69점, 유성구 81.52점 순이다.
이같은 평가점수는 공신력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점수를 체점하는 평가위원은 시청공무원,구청공무원 단 두명에 지나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시청의 경우 103.01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엉망이었다.
대전 시청의 경우 총 21층 중 1~3층까지만 장애인 화장실이 있었으며, 2층 시민봉사실에는 화장실 앞까지 점자블럭이 없었으며 2층
콜센터 앞에는 점자블럭이 입구가 아닌 벽 앞에 되어 있어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장애인 화장실의 세면대 수도시설이 작동하지 않는가 하면 장애인
화장실인지 창고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인데 왜 시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지에 관한 의문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파워 포인트로 현장사진을 보여주며 "공무원들은 깊이 느끼고 반성을 해야 한다. 2005년도에 지적됐던 부분이 개선된 점이 하나도 없지 않느냐. 조치사항 위반 시
500만 원 이하의 벌금부과 또한 5개 구청을 포함해 단 한건도 없었다"고 강하게 질타하고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사항 사전점검 조례 제정의
시급함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신숙용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시정조치가 내려지지 않은 5개 구청에 대해
▲ 권형례
시의원
서는 조속한 시정조치를 내리고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임을 약속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을 위한 장묘 현대화 및 장사 써비스 향상에 적극 나서라" 며 질의를 펼친 권형례 의원(중심당 비례)은
“대전시 관내 화장장 시설의 낙후로 대전시의 화장률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며 화장장
현대화를 추진하던지 장사.화장.납골을 원스톱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는시설을 갖춰 시민들이 최고의 장사 써비스를 받을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권의원은 충남도와 함께 ‘광역 장사시설’을 설치하는 안. 구봉산 숲 복원사업에 정책적 관심을,집단 이기주의와 갈등 관리에 있어 전략적으로
행정절차를 운영해 달라고 당부했다.
▲ 박희진
시의원
박희진
의원(한나라당 대덕1)은 “인구고령화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의
노인일자리 창출 정책은 일회성(단기간)이 아닌 교육복지형, 자립지원형으로 나가야한다”며
“노인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시차원의 노인취업센터를 운영하고, ‘대전광역시 사회복지기금 설치 및 운용조례’안의 기금용도와 기금규모를 일부 개정해
노인일자리 창출에 쓰이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박의원은 세계보건기구(WHO)연구보고서에 따르면'중증 정신질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립 정신병원의 시설이 매우 열악
하다 중증장애인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처우가 비인격적으로 집단 수용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