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시개발공사(심영창사장)가 추진하고 있는 서남부지구 택지개발사업, 학하지구 개발사업, 남대전유통단지 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대전도시개발공사 (심영창사장)는 서남부권 택지개발등 기존의 추진사업 외에 대전역세권 개발사업, 서남부권 분양아파트 건설사업등 신규사업도 빈틈없는 행정절차 이행과 타당성 검토 등으로 사업추진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서남부권 택지개발사업
대전의 마지막 개발가능지역으로 불리는 서남부권 택지개발사업은 개발면적 183만평, 사업비 2조4천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도시개발공사, 토지공사, 주택공사가 공동시행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개발공사는 6천억원을 투입해 전체면적의 20%인 18만3천여평을 개발하고
있으며 7월 현재 지장물 철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건설경기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건설업체 공동도급(49%)과 지역업체 하도급
의무화할 방침이다.
- 2006년 10월 : 공사착공 - 2006년 10월 : 택지
선수분양
- 2007년 하반기: 아파트 분양
- 2011년: 사업준공
▲
서남부권 분양아파트 건설사업
드리움 1,2차 아파트의 성공적인 분양으로 시민에게 신뢰받는 주택공급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도시개발공사는
서남부지구 공동주택용지내에 1,900세대의 분양아파트를 건설하여 철도시설관리공단 등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 직원에 대한 주택수요를
충족시켜 배후도시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는 한편 공기업으로서 수익적 측면에서도 상당한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2006년 : 사업타당성 검토- 2007년 8월 : 착공 -
2007년 11월 : 분양개시
▲ 학하지구 도시개발사업(市 대행사업)
학하지구 개발사업은 80년대 후반부터 주민의
민원이 제기됐던 유성지역 숙원사업으로 IMF 외환위기로 사업이 중단됐으나 도시개발공사가 2004년부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유성구 학하, 덕명,
복용동 일원 54만2천여평에 걸쳐 개발이 진행중이며 총사업비 2,319억원을 투입해 2011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중이다. 도시개발공사는
지역건설경기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업체 공동도급과 하도급 의무화를 명시하고 있다.
- 2006. 6 : 개발계획 변경심의(市 도시계획위원회) -
2006. 6 : 지장물건 조사
- 2006. 11: 환지예정지 지정 - 2006. 11:
지장물 보상 및
공사착공- 2011: 사업준공
▲ 플라워랜드 조성사업(市 대행사업)
대전동물원. 뿌리공원과 함께 보문산 관광벨트의 한 축을 형성할 플라워랜드가 4월 14일 첫 삽을
뜨고 26개월간의 공정에 돌입했다. 대전플라워랜드는 중구 사정동 255번지 일원 대전동물원 인근 3만여평에 조성되며 총공사비는 270억원(보상비
92억원 포함)이 투입된다. 플라워랜드가 완공되면 동·식물을 한곳에서 즐기며 레저와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명실상부한 중부권 최대의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플라워랜드에는 사계절 정원, 장미원, 무궁화원, 분수거리 등
10개의 테마 정원이 조성되며 대전동물원과 플라워랜드를 연결하는 42m의 보도육교가 설치된다. 보도육교는 나비를 형상화한 독창적인 설계로 보문산
관광벨트를 상징하는 명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 2006. 4 : 공사착공 - 2008. 5:
공사준공
▲ 대전역세권 개발사업
원도심지역의 공동화를 방지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불어넣을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 동구 삼성동, 소제동, 도안동, 정동 일원 26만5천평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주거, 상업, 지원, 공공시설 등이 들어서게
되며 도시개발공사 이외에 철도공사 등과 공동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되며 현재 사업타당성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1조1천3백억원
규모.
▲ 남대전유통단지 개발사업
유성구 대정동에 건설하여 성공적으로 분양을 마쳤던 대전종합유통단지의
경험을 살려 원도심의 낙후지역인 동구 낭월동, 구도동 일대 15만5천여평에 남대전 유통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대전시가 갖고 있는 최고의 경쟁력
가운데 하나인 사통팔달의 교통여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원도심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물류업체등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벌여 사업타당성을 검토한 바 있으며 유통단지 안에는 공동집배송단지, 창고단지, 지원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 사업비는 743억원.
- 2006 :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지구지정 - 2007 : 용지분양
-
2007 : 실시계획 승인, 보상 및 공사착수 - 2009: 사업준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