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025 KAIST 큐데이’(Q-DAY)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큐데이는 KAIST의 신문화전략 QAIST에 기여한 우수 구성원을 포상하고 창의·질문·도전 중심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2022년 처음 도입된 행사로 올해로 4회를 맞이했다.
Q(창의교육), A(연구), I(국제화), S(기술사업화), T(신뢰와 소통) 등 5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교원·학생·직원 등 총 43개팀 총 47명이 특별 포상을 받고 그 중 5개 팀이 특별강연한다.
창의인재 교육 분야 수상자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전준 교수는 ‘뇌·인지·사회를 연결한 초학제 창의인재 교육모델’을 주제로 발표한다.
전 교수는 바이오및뇌공학과와 공동 개발한 '뇌, 인지, 사회' 교과목을 통해 뇌과학·공학·사회과학을 아우르는 융합 교육 모델을 제시해 왔으며 이번 강연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정의 능력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교육 혁신 방안을 소개할 예정이다.
연구 분야 수상자인 생명과학과·신소재공학과 손영주·박규순 학생팀은 혈액 내 이온반응을 활용해 전장·의료취약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형 신속 지혈제 개발 과정을 소개한다.
연구팀은 소재 혁신과 생체 내 검증을 기반으로 긴급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신개념 응급의료 기술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제화 분야 수상자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언 천 코어(Ern Chern Khor) 학생은 UN ICT 성평등 이니셔티브(EQUALS) 보고서 편집책임자로 참여한 경험과 디지털 젠더 격차 연구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사례를 공유한다.
기술가치창출 분야 수상자인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는 생체리듬 기반 개인 맞춤형 수면 알고리즘을 개발해 삼성전자에 기술이전한 과정과 실제 상용화 사례를 소개한다.
또 응용수학 학회 SIAM에서 한국인 최초 기조강연자로 초청된 연구성과도 함께 공유하며 KAIST 기술사업화의 대표적 성공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 외에도,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는 난치성 뇌전증 혁신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해 자신의 창업기업 소바젠(Sobazen)을 통해 약 7500억 원 규모로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날 시상대에 오른다.
신뢰와 소통 분야에서 학생지원팀 김용호 직원은 학위수여식과 입학식 등 주요 교내 행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학생자치단체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다양한 학생 참여 프로그램을 기획·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김 직원은 교가·애국가 챌린지, ‘과학자의 즐거움’ 강연 기획 등 학생 참여와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활동을 이어오며, 포용적 캠퍼스 문화 조성에도 기여했다.
이광형 총장은 “2021년 시작된 KAIST의 신문화전략 QAIST가 이제 KAIST의 DNA로 자리 잡아 교육·연구·국제화·기술사업화·신뢰와 소통 전 영역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Q-DAY는 구성원들의 도전적 연구문화가 세계 무대에서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한 자리”라며 “앞으로도 구성원들이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창의적 질문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더욱 강한 조직문화와 지원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