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5일 울산테크노산업단지에서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지원센터는 차세대 이차전지의 전주기 실증이 가능한 국내 최초의 통합형 이차전지 인프라로 향후 기술의 상용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기반 시설로 활용될 전망이다.
리튬이온전지를 뛰어넘는 고성능·고안전성의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를 위해서는 전고체전지, 리튬-황 전지, 리튬 금속 전지 등 새로운 소재를 활용한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에너지연은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광역시의 지원을 받아 국내 공공기관 중 최대 크기의 드라이룸(180평 규모)을 비롯해 차세대 전지 소재 취급부터 제조, 분석, 평가까지 한 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원스톱 전주기 실증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활용하면 개발한 기술과 시제품을 즉각 실증, 검증할 수 있어 기술 상용화 기간을 단축하고 연구비와 시제품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원센터는 반도체 산업의 ’파운드리(Foundry)‘와 같이 ’배터리 파일럿 파운드리’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계의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고 산업 생태계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창근 원장은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지원센터는 미래 전지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산·학·연 협력의 실질적 거점이자 연구개발에서 실증·상용화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 체계를 갖춘 국가 핵심 인프라”라며 “센터를 중심으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앞당기고,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