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방재욱 교수 | ||
방교수는 지금까지 분석된 국내 자생식물의 염색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230쪽 분량의 자료집 ‘Chromosome Index to Korean Native Plants(한국 자생식물 염색체 자료집)’ 영문판을 최근 발간했다.
이 자료집은 외국의 유관 기관에 배포될 예정으로 우리나라 자생식물 염색체의 연구자료 제공과 함께 연구의 현황을 알리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료집은 지금까지 분석된 한국의 자생식물 현황과 연구문헌 목록, 염색체를 이해할 수 있는 염색체 탐구, 식물염색체 관련 학술회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자료집에는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는 약 3천500종의 식물 중 62과 206속 400 여종의 염색체 수가 게재되어 있으며, 30과 74속 124종에서 핵형 분석 자료와 함께 염색체 연구문헌 및 관련 학술회의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방 교수는 염색체 연구가 자원식물의 분류, 유전자원의 보존 및 식물생명공학 연구 등에 중요한 기반이라는 인식 하에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에서는 이미 지난 50년대부터 식물 염색체 수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시작했으며, 일본도 염색체학회 설립과 학술지 발간 등을 통해 연구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덧붙이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식물염색체의 연구자 수가 적을 뿐 아니라 자생식물의 염색체에 관한 자료가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식물염색체 연구의 저변 확대를 강조했다.
이 자료집은 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 가운데 하나인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6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