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성균관대와 차세대 고탄성 하이드로젤 개발
충남대, 성균관대와 차세대 고탄성 하이드로젤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8.21 11:3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고탄성 하이드로젤 개발에 성공했다.

충남대학교는 응용화학공학과 이창수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학교와 생광물화 과정을 모방해 기계적으로 강화되면서도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없는 고탄성 하이드로젤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 ‘Nano Letters(ACS)’에 게재됐으며 연구의 혁신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Supplementary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폴리알릴아민·인산·아크릴아미드 기반 나노복합체를 형성한 후 'in situ 실리카화 공정'을 통해 하이드로젤 내부에서 실리카 나노입자가 동시에 생성·분산되도록 구현했다. 이를 통해 고분자 네트워크와 실리카 입자가 물리적으로 얽힌 하이브리드 구조를 형성해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

그 결과 개발된 하이드로젤은 인장강도가 약 3배, 강성이 2.5배, 인성이 2.8배 향상되는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보였으며 반복적인 변형에도 에너지 손실이 없는 완전 탄성 거동을 유지했다.

또 변형 속도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기계적 성능을 나타냈고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수분 함량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변형 센서로서의 기능을 입증했다.

이창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히 외부에서 나노입자를 첨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하이드로젤 내부에서 생광물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새로운 합성 플랫폼을 제시했다”며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광물화 원리를 정밀하게 재현해 얻은 고탄성 하이드로젤은 기계적 강도와 신축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차세대 소재로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차세대 인공 조직, 스마트 로봇 소재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이 기대돼 학문적·산업적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5-08-22 01:07:03
한국의 모든 대학들은 국사 성균관 자격 성균관대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대학 국사 성균관 지격 宮성균관대 다음 예수회 산하 귀족계 Royal대 예우) 제외하고는, 대중언론.입시지에서 왜구 서울대를 이기기 힘듭니다. .5,000만 한국인뒤 주권없는 패전국 성씨없는 일본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만든,왜구 불교 Monkey 마당쇠.개똥이 서울대와 부하 노비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