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합 맞추며 공공기관 이전 유치 역할에도 기대감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등 거론
[충청뉴스 계룡 = 조홍기 기자] 새 정부의 국정 기조 아래, 충남 계룡시가 중대한 분기점을 맞이하고 있다.
지난 13일 발표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살펴보면 충남은 국가첨단전략산업의 핵심 거점임을 언급했고 특히 논산과 계룡은 국방 관련 기관 유치를 통해 스마트 국방산업의 발전을 이끌 전략적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계룡시로서는 국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호재를 맞은 셈인데, 여기에 최근 추진되고 있는 ‘지능형센서 Spin-on 지원센터 조성’ 역시 계룡시 유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된 단계는 아니지만, 정치적 구도 속에서 이 흐름을 뒷받침하는 삼각 편대가 있다. 바로 이재명 대통령과 황명선 국회의원, 전문학 보좌관이다. 지능형센서 Spin-on 지원센터 유치 논의도 사실상 황 의원과 전문학 보좌관이 제안해 정부 정책 아젠다로 끌어올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단순히 행정적 절차의 결과가 아니라, 정치적 설득과 정책 라인 연결이 만들어낸 성과라는 것이다.
황명선 의원과 전문학 보좌관이 정부 정책의 물꼬를 텄다면, 이재명 대통령은 이를 충남 첨단산업 육성 청사진과 접목시키며 전국 단위 명분을 부여했다. 여기에 하반기부터 추진될 공공기관 이전 유치까지 가져온다면 ‘국방 산업 클러스터’ 조성은 한층 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공공기관 이전 유치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분 속에 추진되지만, 실제 유치 과정은 치열한 정치적 합의가 오갈 것으로 보여 향후 지역 정치권 역할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계룡시가 추진 중인 국방 관련 기관들이 모두 이전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면서, “오히려 전략적 파급력이 큰 기관 1~2곳을 유치해 관련 기업들의 동반 진출을 이끌어내는 집적효과를 노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의 역량과 협상력, 여기에 충남도와 계룡시의 행정력이 더해져 국방 산업 클러스터 조성의 성과를 현실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