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군수 "국정과제로 반드시 채택돼야" 협조 요청
[충청뉴스 조홍기 기자] 5월 7일 국회에서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차기 대선 국정과제로 반영하기 위한 민·관·정 정책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간담회는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가 주관하고, 이학영 국회부의장을 비롯해 이개호·신정훈·박수현·황명선·서왕진 의원 등 국회의원들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정현 부여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 허재영 전 국가물관리위원장 등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해수유통을 통한 금강 기수역 복원 필요성과 추진 방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굿둑이 필요했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며 “지금은 우리 후손들을 위해 금강의 생태계를 되살리는 해수유통이 절실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내란과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혼란 속에서도, 지역의 절박한 사정을 감안해 이번 정책이 국정과제로 반드시 채택돼야 한다”고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금강은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물산과 교역의 중심지이자 풍부한 어족자원을 지닌 기수역으로서 경제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지역이었다. 그러나 하굿둑이 건설된 지 35년이 지난 현재, 기수역의 생태는 크게 훼손된 상태다.
2017년 낙동강 생태복원이 국정과제로 채택되면서 금강 또한 복원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됐다. 실제로 낙동강은 2019년부터 해수유통 실증 실험을 시작해 2022년 전면 개방에 이르렀으며, 이 과정에서 환경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금강의 해수유통 추진에는 상당한 난관도 존재한다. 가장 큰 장애물은 전북지역의 용수 확보 문제다. 하류에 위치한 취수장 5곳을 상류로 이전하는 데 약 6,0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되며, 이는 지방정부의 재정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이에 따라 박 군수는 해수유통과 기수역 복원을 국가 정책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 그는 지난해 11월 전남도청에서 열린 국가하구 생태복원 대토론회와 올해 2월 부여군에서 열린 하구복원법 제정 대토론회 등에서 관련 지자체 간 이해 조정과 재원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 주도의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
부여군과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해당 사안이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되길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한 입법 토론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