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상생 국가지속가능발전 뒷받침 결정 기대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대통령실 이전’ 문제가 충청권 대선 ‘핫 이슈’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세종시 정·관계가 유치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충남 입지’의 당위성이 제기되면서 최종 결론에 관심이 쏠린다.
‘대통령실 이전’은 특정 지역의 이해를 넘어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에서 향후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현재 대통령실 유치에 가장 적극적인 쪽은 세종이다. 세종시는 최근 개헌을 통해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명문화하고, 대통령실을 이전해야 한다고 정치권에 요청했다.
세종시에 기반을 둔 국회의원들 역시, 다양한 루트를 통해 ‘용산 대통령실·청와대 불가론’을 주장하며, 세종 이전 여론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정·관계의 노력으로 ‘속도’가 붙는 듯 싶었던 대통령실 세종 입지 주장은,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이철우 경북지사에 의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 지사는 15일 충남도청을 찾아 ‘대통령실 충남 입지 검토’ 공약을 발표, 대통령실 이전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환담 뒤 기자회견을 가진 이 지사는 “국회 세종의사당을 조기에 착공하고 향후 대통령실을 충남으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이 지사는 대통령실 충남 이전 검토의 이유로 ‘행정수도 충청의 확장’을 제시, 당위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통령실과 국회 모두가 기초단체 규모인 세종시에 밀집하는 것보다, 행정수도의 범위를 ‘충청’ 전체로 키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지사 주장의 골자다.
이 같은 이 지사의 주장은 ‘대통령실 충남 이전’으로 충청권의 오랜 숙원인 ‘메가시티’ 건설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으로 이어져, 지역 안팎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키는 상황이다.
대전·충남이 인접한 지역에 대통령실을 이전시켜, 충청권 전체를 넘어 인근 전북 등까지 파급효과를 나눌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지역의 한 인사는 “대통령실 이전은 특정 도시의 이익을 넘어 충청권 전체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계기가 될 수 있다”며 “대통령실 이전을 통해 세종·충남·대전이 함께 성장하는 메가시티 구상이 현실화된다면 충청권 모두가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