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청양 지천댐 갈등 지속...“용수 수탈”vs“미래 책임질 사업”
충남 청양 지천댐 갈등 지속...“용수 수탈”vs“미래 책임질 사업”
  • 권상재 기자
  • 승인 2025.03.11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천댐반대대책위, 댐 건설 추진 김태흠 지사 강력 규탄
충남도, 주민·전문가 참여 협의체 구성 계획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지천댐 건설을 두고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충남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사진 권상재 기자

충남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11일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댐 건설을 결사반대하고 나섰다.

앞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6일 “지천댐은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사업”이라며 추진의사를 밝힌 바 있다. 김태흠 지사는 찬·반 주민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도 차원의 1천억 원 추가 지원 등을 약속했다.

대책위는 “확보되지도 않은 예산 1천억 원 지원 운운은 예산편성 계획도 없고 근거도 없으며, 충남도의회 의결도 거치지 않은 근거없는 공수표 남발”이라며 “예산이 세워진다 해도 그건 주민들을 위한 직접지원이 아닌 댐 건설 시 부대시설을 위한 사업비가 대부분이며, 물가 상승율을 반영한 사업비인데 주민들에게 특혜를 주는 것 마냥 지원이라는 단어를 쓰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행법에 댐 주변규제가 엄연히 있음에도 겨우 임기 1년여 남은 도지사가 10년 뒤 규제를 전혀 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무말 대잔치”라고도 했다.

또한 대책위는 "사대강 수계법에 따르면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일정 이상 오염원이 발생하면 댐 만수위로부터 7~10km까지 규제한다"며 "취수구를 설치하면 상수원 보호를 위해 취수구로부터 상류 15km, 하류 1km까지 공장, 노인요양시설, 주택, 숙박업 등 여러 가지 시설을 할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지천댐 건설은 다른지역 물 부족을 채워주기 위한 지천 용수 수탈"이라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협의체 구성 관련해서는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양 꼼수를 부리며, 지천댐 행정절차를 추진하며 댐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사진 권상재 기자

이날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도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댐 협의체 운영계획과 반대 측 주장의 반박에 나섰다.

협의체는 청양과 부여의 찬·반 주민과 전문가 등 20명 내외로 18일까지 구성될 예정이며, 위원수가 부족할 경우, 공정성 확보를 위해 모집공고를 통해 공개모집 한다. 위원장은 민간 전문가가, 간사는 김영명 국장이 맡는다.

공정성 확보를 위해 댐 추진기관인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참여는 배제된다. 단, 댐 추진방향 설명 등 주민 요청 시 참석한다.

김 국장은 취수구 설치 문제 관련 “환경부에서 공식 입장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 규제가 없고 기본구상 용역을 통해 규제가 없는 취수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국장은 “지천댐을 건설하면 청양, 부여지역 홍수 발생 시 빗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커지며, 댐을 통해 지체시켜, 하류지역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금강홍수통제소에서 선제적으로 우기를 고려해 저류량을 결정하므로, 치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천댐 건설 시 1,000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환경부 건설사업 및 지원사업 이외에 도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예산이며, 댐 협의체를 통해 주거, 산업, 농축산, 관광분야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국장은 “댐 반대 대책위에서 주장하는 협의 문제는 작년부터 환경부 지역설명회, 공청회 및 도 간담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 수렴을 하고자 했으나, 회의 자체를 거부해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며 “이번에 구성하는 협의체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주실 것”을 당부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