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 추진
젖소가 자율적으로 착유...스트레스 ↓
노동력 대폭 감소, 원유 생산량 증가
젖소가 자율적으로 착유...스트레스 ↓
노동력 대폭 감소, 원유 생산량 증가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아산시가 지역 최초로 로봇착유기를 도입했다.
시는 도고면 한 젖소 농가를 대상으로 ‘2024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했다고 10일 밝혔다.
로봇착유기는 젖소가 스스로 착유기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착유가 진행되는 최첨단 장비다.
유방 세척, 건강 모니터링, 착유 후 소독까지 위생적·체계적 자동화 공정이 적용된다. 특히 젖소가 자율적으로 젖을 짤 수 있어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원유 이상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해 정상 원유만 밀크탱크로 보내는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에 원유 위생 관리 수준을 크게 높이고, 젖소 건강 상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존 낙농농가는 하루 두 차례 착유를 진행했다. 전체 노동시간의 약 40%를 차지해 노동력 부담이 컸다.
로봇착유기 도입 이후에는 노동력 부담이 대폭 감소하고, 착유 효율이 향상하면서 원유 생산량도 늘어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김정규 아산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스마트 축산 기술 도입은 축산업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 핵심 전략”이라며 “축산농가의 보급을 적극 지원해 아산을 미래형 스마트 축산 선도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축산업의 첨단화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축산 기술 보급 확대 ▲축사 환경개선 ▲저탄소 축산 기술 보급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