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본탁 회장
대덕밸리벤처연합회 1987년 6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생명공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구본탁 회장. 그는
현재 (주)인바이오넷 대표이자 대덕밸리벤처연합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2000년에는 3월의 중소기업인상, 과학기술진흥유공포상 국무총리상, 대전시
환경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학위는 모두 연세대학교(식품생물공학)에서 수료. 1962. 11. 21일생
2. 권오갑 이사장
한국과학재단 1978년 제21회 행정고시 합격. 같은 해 5월 과학기술처 정보산업과에서 일하게 된다. 1992년까지
국제협력담당관, 원자력정책과장, 기술협력국장으로 근무했고 2003년 과학기술부 차관 자리에까지 오른다. 더불어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간사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2004년 4월 한국과학재단 이사장으로 부임했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를, 고려대학교에서 과학관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47. 5. 22일생
3. 김병선 청장
대전지방기상청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하고 공군 기상예보장교를 역임했다. 이후 기상청에 입사해 연세대 대학원
천문기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대전지방기상청 청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업적으로는 통신해양기상위성 본 사업 추진, 기상위성센터 설립을
위한 기반 구축, 기상청 레이더관측망 확충 및 교체 사업, 기후변화 및 지구대기감시업무 기반 구축 등이 있다. 1994년 풍수해대책과 관련하여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1952. 8. 20일생
4. 김 열 원장
국제지식재산연수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하여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에너지정책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에 행정고등고시(20회)에 합격했으며 1983년에 청와대 공보비서실 행정관과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을 거쳐 현재 국제지식재산연수원
원장으로 있다. 1949. 10. 22일생
5. 김충섭 원장
한국화학연구원 서울대학교 약학대를 졸업, 서울대 대학원 약학과 약학석사(의약화학전공) 취득 후 University
of Delaware (Newark, Delaware, USA)대학원 화학과 박사 학위(유기화학전공), University of Delaware
(Newark, Delaware, USA)화학과 박사 학위를 받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생화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1942. 5. 15일생
6. 김태현 원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서울상대 경영학과 졸업하여 미 캘리포니아대 연수를 받았으며 1979년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대통령
비서실, 기획예산처 등 정부 주요 부처에서 근무하다 정보통신부 차관을 거쳐 현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원장을 맡고 있다. 1979년 녹조근정훈장,
1986년 대통령 표창, 2003년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했다. 1949. 4. 12일생
7. 로버트 러플린 총장
한국과학기술원 199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 1979년 MIT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스탠퍼드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아 경기때 노벨상수상자 초청 학술대회에 참가했으며 2004년 아·태
이론물리센터(APCTP)소장 겸 포항공대 석학교수로 선임된 바 있다. 2004년 7월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으로 취임한 로버트 러플린은 ‘분수
양자홀 효과’이론을 발표, 고체-통계-입자물리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틀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50. 11.
1일생
8. 박화영 원장
한국기계연구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생산공학 석사 취득 후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정밀공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등에서 여러 학술활동을 펼쳤으며 현재 한국기계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2000년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했다. 1946. 3. 26일생
9. 손희만 청장
금강유역환경청 경북 성주 출신인 손청장은 경북고와 육사 토목공학과, 경희대 국제법무대학원을 졸업했다. 지난 81년
공직에 발을 들여 놓은뒤 환경처 공보관, 기획관리실을 거쳐 지난해 이사관으로 승진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장과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을 역임한 바
있다. 1952. 1. 7일생
10. 송명재 원장
원자력환경기술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졸업 후 미국 피츠버그대학, 보건물리 석사 취득 후 미국
미시건대학 보건물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원자력환경기술원 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미국 보건물리학회 평의원이다. 저서로는 방사선의 세계,
아인슈타인의 실수, 방사선 피폭평가, 방사선과 무뇌아 등이 있다. 1948. 7. 16일생
11. 신성철 회장
대덕클럽 서울대학교 응용물리학과 졸업하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취득 후 Northwestern Univ.
재료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거 과기부 장관 자문위원을 역임한 경력이 있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부총장이자 사단법인 대덕클럽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대전시정 등 여러 기관의 정책자문을 하고 있으며 과학문화창달을 위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1952. 7.
19일생
12. 신원기 원장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서울대학교 핵공학과 졸업하여 서울대에서 핵공학과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원자력안전센터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9년 과학기술부장관 표창, 1996년
원자력안전상, 2000년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했다. 1948. 6. 10일생
13. 양규환 원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강대학교 생물학 학사 취득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미생물학·독성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과학과 교수와 식품의약품안전청 청장을 거쳐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03년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했다. 1944. 1. 30일생
14. 이세경 원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하여 미국 Univ. of Illinois, U-C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부장을 거쳐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이기도
하다. Ultrasonic contact transducer for point-focusing surface waves(미국, 등록번호 :
5094108) 등 6건의 특허등록을 했다. 1947. 3. 2일생
15. 이헌규 관장
국립중앙과학관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산업전자공학 석사를 받았다. 1976년
기술고등고시에 합격, 1977년부터 과학기술처 기술협력총괄과, 원자력안전과 등에서 근무. 1987년부터는 주 벨기에왕국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다시
과학기술부에서 일하다 2002년 9월 국립중앙과학관장으로 취임했다. 1954. 9. 2일생
16. 이형주 원장
한국한의학연구원 전북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여 행정고등고시(제17회) 합격했다. 광주지방식품의약품청장을
거쳐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17. 임주환 원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졸업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취득 후 독일
Braunschweig공대에서 박사(통신시스템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시작해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SDN, 초고속통신시스템 등을 연구·개발했으며 철탑산업훈장(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기여), 체신부장관 표창(과제 수행 우수),
한국통신학회 공로대상, 대한전자공학회 기술상 등을 수상했다. 1949. 2. 9일생
18. 장인순 소장
한국원자력연구소 2005년 4월까지 한국원자력연구소 소장으로 재임했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IAEA
사무총장, 원자력에너지 자문(SAGNE)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고려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1976년 캐나다 웨스턴 온타리온대에서
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최근 정확한 데이터 분석능력과 고가용성을 갖춘 통합 경영정보시스템, 비즈니스인텔리전스(BI)를 발표한
바 있다. 1940. 3. 29일생
19. 조세형 원장
전파천문학 전공인 조세형 원장은 1980년 국립천문대 시절부터 연구관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에서
항성물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일본 동경대학교 유학을 다녀왔으며, 지난 2002년 5월부터 연구원 총책임을 맡고 있다. 한일
기초과학교류위원회 지구·우주분과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1952. 2. 15일생
20. 조영화 원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성균관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여 충북대학교에서 전자계산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업기술정보원(KINITI)원장과 연구개발정보센터(KORDIC) 소장을 겸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1953.
1. 5일생
21. 최익수 원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후 고려대 대학원에서 화학공학 학사 및 박사를 취득했다. 미국
Chicago of University 화학공학 Post Doctor과정을 연수 하였으며 고려대학교와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최고경영자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소장(직무대행)을 거쳐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1945. 8. 25일생
22. 허운나 총장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문헌정보학 석사 및 교육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한국교육개발원 국제협력실장 겸 국제비교연구실장, 1987년 영국 캠브리지대 객원교수, 1991년 소련 INT-한양대
컴퓨터교육연구소 공동프로젝트 리더, 1996년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2000년 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
2002년 IPAIT(국제IT의원연맹)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