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국민의힘 대전 대덕구 당협위원회가 대덕구의회 원 구성 파행 과정에서 ‘체면’을 제대로 구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총 100일에 달하는 파행 동안 당협의 ‘총체적 부실’을 노출, 사태 해결이 가능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국힘 대덕구 당협은 구의회 원 구성 파행에서 ▲당협위원장 리더십 부재 ▲당협 단일대오 붕괴 ▲갈등 해결 능력 실종 등을 연출했다.
국힘 대덕구 당협 정상화를 우려케 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박경호 당협위원장의 리더십 부재 노출이다.
의회 다수당임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원 구성 ‘교통정리’에 실패했음은 물론, 의원간 갈등도 해소하지 못했다.
현재 대덕구의회는 국힘 4명, 민주 2명, 무소속 2명으로 국힘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통상 중앙·지방의회 원 구성이 다수당 중심으로 이뤄진 통례로 미뤄볼 때, 국힘 내 교통정리가 이뤄졌다면 원 구성 파행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이 같은 분석은 박 위원장이 대덕구의회 원 구성 파행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으로 이어진다.
의원간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고 당론에 따른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한 점도 박 위원장의 ‘실책’으로 꼽힌다.
당협내 조직을 총괄하는 입장에서 갈등을 해소하고 총의를 모으기는 커녕, 일부 지방의원과 위원장 본인간 ‘엇박자’를 외부로 노출시킨 점 또한, 박 위원장 스스로 본인의 입지를 좁힌 대표적 사례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일부 지방의원들이 박 위원장을 향해 이례적으로 날을 세운 일은, 그의 당협 운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까지 자아낸다.
최근 대덕구 당협 다수의 시·구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탈당한 시의원의 성추행 혐의, 박 위원장의 선거법 위반 재판, 지방선거 해당 행위자의 복당 시도 등 연일 이어지는 불미스러운 일에 제대로 된 대처는 없었다”고 강하게 비판, 박 위원장 리더십에 대한 의구심을 표출했다.
한편 대전 대덕구의회는 최근 100일에 달하는 후반기 원구성 파행으로 ‘식물의회’를 면치 못했다.
1995년 지방자치가 시작된 뒤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기간 동안 파행을 지속하며, 지방의회 무용론을 심화시켰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