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청년 농업인과 미래 농업 위해 ‘머리 맞대’
충남도, 청년 농업인과 미래 농업 위해 ‘머리 맞대’
  • 권상재 기자
  • 승인 2024.10.04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태흠 지사, 4일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 정책 심포지엄’서 특강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미래 농업·농촌의 주역인 청년 농업인들과 만나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도의 농업·농촌 구조개혁 정책을 소개하고 함께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 정책 심포지엄

김 지사는 4일 천안 연암대 연암관에서 한국후계농업경영인 충청남도연합회 주관으로 열린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 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해 ‘충남이 이끄는 미래 농업·농촌의 힘쎈도전’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펼쳤다.

김 지사와, 국회의원, 도의원, 청년 후계농업인 등 3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주제 발표, 종합 토론, 특강, 질의응답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특강을 통해 김 지사는 경쟁력 없이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농업·농촌의 현실과 문제점을 꼬집고 민선 8기 농정 철학과 정책을 설명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경쟁력 없이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농업·농촌의 현실과 문제점을 꼬집고 민선 8기 농정 철학과 정책을 설명했다

김 지사는 “우리나라와 경지면적이 비슷한 네덜란드는 농업인구가 19만 명 정도인데 연간 수출액은 1200억 달러인 농업 대국”이라면서 “우리나라는 농업인구가 220만 명인데도 수출액은 90억 달러에 불과하다”라고 짚었다.

이어 김 지사는 이러한 차이가 농업·농촌의 구조와 시스템 문제에 비롯됐다고 분석하며 “우리나라는 텃밭 수준 농업인에게 직불금, 농어민수당, 건강보험 반값, 면세유 등 각종 보조금을 연간 300만 원 이상 지원한다. 영세한 농업소득이지만 각종 보조금은 규모화·산업화 농업의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선진 산업으로의 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농촌 구조개혁을 강조하며, ▲농지 이양 등 농업인 연금제도 ▲청년 유입 및 청년후계농 육성 ▲스마트팜 단지화 등 돈 되는 농업 ▲충남형 스마트팜 ▲충남글로벌홀티컴플렉스 조성 등 농업 산업화 및 스마트팜 콘텐츠화 ▲스마트 축산 선도모형 구축 ▲농촌 주거공간 집단화 등을 내세웠다.

끝으로 김 지사는 “‘농자천하지대본’은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변함없는 정의”라며 “충남이 먼저 바꾸겠다. 모두 한마음으로 농업·농촌 구조와 시스템 개혁에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