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기왕 의원 “전기차 리콜 40만 대...자기인증제 검토해야”
복기왕 의원 “전기차 리콜 40만 대...자기인증제 검토해야”
  • 박동혁 기자
  • 승인 2024.09.27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8월 기준 리콜 대수 40만 대 넘어
“전기차 업체 전문 역량·책임성 부족해”
복기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아산시갑)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복기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아산시갑)은 27일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전기차 업계는 자기인증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올해 8월 기준 전기차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대수가 4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복기왕 의원이 공개한 ‘최근 5년 전기차 리콜 및 무상수리 현황(2024년 1~8월)’에 따르면 전기차 리콜은 제조사별로 81건, 약 42만 9000대에 달했다.

이는 한 해 전기차 최다 리콜 대수인 2022년 20만 대 리콜보다 두 배 많은 수치다.

올해 상반기 전기차 누적 판매 대수는 60만 6000대 수준이다. 전기차 판매량은 빠른 속도로 늘었지만, 전기차 업체 제조 역량과 책임성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자료에 따르면 차량 수 기준 가장 많은 리콜은 테슬라가 21만 대(Model 3, S, X, Y)로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가 11만 2000대(아이오닉5, 아이오닉6, ELECTRIFIED G80, GV60), 기아가 5만 5000대(EV6)로 뒤를 이었다. (결함 건 간 중복 포함)

연도별 전기차 리콜은 ▲2020년 약 8만 대(8건) ▲2021년 약 9만 9000대(43건) ▲2022년 약 20만 대(68건) ▲2023년 약 18만 2000대(77건) ▲2024년 1~8월 약 42만 9000대(89건)로 확연히 증가했다.

전기차 무상수리는 지난해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올해는 보합세다. 무상수리는 구매 시기와 주행거리가 짧고, 상대적으로 경미한 차량 결함에 대해 시행한다.

복 의원은 “전기차의 잦은 제작 결함과 리콜이 소비자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며 “업계는 제작사의 높은 자율성을 부여한 자동차 자기인증제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