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육아 공무원 ‘주4일 출근제’ 등 출산 지원 대폭 늘려
천안시, 육아 공무원 ‘주4일 출근제’ 등 출산 지원 대폭 늘려
  • 박동혁 기자
  • 승인 2024.08.29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월부터 만 5세 이하 자녀 둔 공무원 ‘주 4일’...270여 명 대상
'40세 이하, 결혼 5년 이내, 2자녀 이상 출산‘ 추가 인센티브
충남 천안시가 육아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결혼·출산·양육 지원책을 마련했다./천안시 제공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천안시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결혼·출산·양육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천안시 평균연령이 증가하고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공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다.

시는 내달부터 만 5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을 대상으로 주 4일 출근제를 시행한다.

대상자는 현재 천안시 공무원 2,300여 명 중 270여 명(11.7%)이다. 충남도가 시행 중인 만 2세 이하 자녀 육아 공무원 대상 ‘주 4일 출근제’보다 적용 범위가 넓다.

대상자들은 주당 40시간 근무를 유지하며 주 1일 재택근무 또는 나흘 동안 10시간씩 근무하고 하루 쉴 수 있다. 육아시간 2시간도 병행해 사용할 수 있다.

출산장려책도 확대한다. 시는 미혼 공무원들의 결혼 시기를 앞당겨 다자녀 출산 유도를 위해 '40세 이하, 결혼 5년 이내, 2자녀 이상 출산‘ 공무원에게 추가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2자녀 출산 시 축하특별복지포인트를 5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인상하고, 성과상여금은 최상위등급인 S등급을 부여할 예정이다. 만 7세까지 매년 5일 특별 휴가 신설, 휴양시설 우선 배정 등도 검토 중이다.

또 출산·양육과 업무 병행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와 워라밸 실현을 위해 국외연수자 선발과 6급 장기교육훈련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할 계획이다.

승진·전보 등 인사상 우대를 위해서는 근무성적평정 가산점을 0.3점에서 0.5점으로 상향하고, 육아휴직 복귀 시 희망부서 배정 등도 추진한다.

이밖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시민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통비, 산후조리원비, 출생축하금 인상 등 출산 지원책 확대도 검토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은 ▲임산부 교통비 증액(30만 원→100만 원) ▲산후조리원비 인상(50만 원→100만 원) ▲출생축하금 확대(첫째 30만 원→100만 원, 둘째 50만 원→100만 원, 셋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000만 원) 등이다.

시는 피부에 와닿는 출산 장려 정책을 선행하고 기관, 시민단체, 기업까지 확산하면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천안은 4~5년 전까지만 해도 젊은 도시라 자부했으나, 현재 평균연령은 거의 3세가 늘어난 41.8세다. 위기의식을 느껴야 한다”며 “결혼·출산·육아가 행복한 공직문화를 선도적으로 조성하고, 민간 영역까지 확산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