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인체유두종 바이러스 현장 신속 검출 진단 플랫폼 개발
생명연, 인체유두종 바이러스 현장 신속 검출 진단 플랫폼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08.28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HPV 현장진단 시스템(CreDiT) 핵심기술 모식도
HPV 현장진단 시스템(CreDiT) 핵심기술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미 공동연구진이 자궁경부암의 원인 바이러스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이창열 박사팀이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이학호 교수팀과 함께 인체유두종 바이러스(HPV)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현장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HPV는 피부에 접촉해 감염되면 사마귀를 발생시키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생식기 점막에 감염되면 자궁 상피세포로 침입하여 여러 단계의 종양을 거쳐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므로 백신을 맞거나 바이러스를 조기에 검출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지름길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세포검사, 아세트산 시각검사, PCR 검사 등이 활용된다.

하지만 이 같은 진단법은 전문 의료시설이 필요하거나 오랜 시간이 걸려 의료환경이 열악한 중·저소득 국가, 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검사에 필요한 설비 및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마저도 시스템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검사 보편화에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팀은 유전자가위 기반의 핵산 검출 기술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융합해 고감도로 표적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HPV를 진단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한 번에 최대 12개의 시료를 35분 이내에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진단 시약도 고형화하여 현장 운송 및 보관이 쉽게 했다.

이번에 개발된 진단 플랫폼은 임상 시료 169개를 모두 정확히 분석해 높은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해내며, 향후 열악한 의료환경에 처한 국가, 지역의 의료 소외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열 박사는 “HPV 진단의 보편화를 촉진해 그간 원인도 모른 채 자궁경부암의 위협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던 의료 소외계층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을 실제 의료환경이 열악한 우간다와 가나에서 현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