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행자위, 소방본부 소관 201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
대전시의회 행자위, 소방본부 소관 201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
  • 문요나 기자
  • 승인 2012.11.23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명경의원(서구6,민주당)
긴급구조표준시스템의 구축은 5개시도가 설치되는데 7억원이 소요되는데 소방방재청의 국비부담이 적고 구급대원의 대체인력을 8명 편성하였는데 충분히 확보하여 시행하라고 당부했다

ㅇ 임재인의원(유성구1,새누리)
소방차량 보강은 전년대비 8억 1천만원이 감액되어 11억 5천만원으로 편성되었는데 보강하겠다고 하였음에도 적게 반영한 이유를 묻고 단독경보형감지기를 보급하는 사업은 내년도만 유독히 적은 가구에 보급하지말고 추경등에 예산확보 하여 시행하도록 당부했다.

의용소방대 연합회 운영 54백만원관련 의용소방대가 화재시 출동하는지와 소방기술경연대회시만 상해보험료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는데 평소에 보험대책에 대해서 물었다.

119 시민수상구조대 운영 58백만원은 185인이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각종 인명구조에 생활체육회 스킨스쿠버 연합회 회원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이분들이 구조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라고 했다.

아울러, 구암동 119안전센터는 뒷골목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진출입 어려움이 있는데 이전을 위한 부지까지 확보하고 있는데도 내년도 건립예산이 편성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물었다

ㅇ 김경시의원(서구2,새누리)
대전시장기 등 체육대회 참가하는데 838백만원등을 편성이유와 충청소방학교 공동운영분담금 198백만원과 부소방서자리에 훈련소 건립 추진현황을 보고받고 훈련소 설치후 체험시설 설치에 대하여 검토하고 화재취약계층 기초소방시설 보급은 소화기와 단독경보형감지기를 보급하는 사업으로 사업효과에 대하여 묻고 보급후 관리에 대해서 언급했다.

119구조장비 확충 720백만원은 그동안에 장비가 없어서 구조에 어려움이 있었는지 지속적으로 장비보강하여 인명구조 등에 어려움이 없도록 철저를 기하라고 당부했다

ㅇ 권중순의원(중구3,새누리)
응급상황이 발생되면 출동요원들(간호사, 구급대원, 운전등 3명)이 대체인력의 기본자격 요건을 간호사와 1급 구급구조사를 조건으로 하고 있으나 의사는 없는데 교육훈련과 구급대체인력 활용에 있어 자격은 1급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로 어떻게 보면 고급인력이나 예산편성은 월당 220만원으로 편성되어 예산이 적어 이들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에 대하여 언급했다

ㅇ 임재인의원(유성구1, 새누리)
대덕특구소방서 신설계획이 ‘06년도에 이행되고 ’09년도 부지를 매입되었으며, 투융자심사등 관련절차도 ‘09년도에 완료했음에도 5년이 지난 현재도 내년 예산 반영하지 않고 있으니 조속히 건립될 수 있도록 추진하라고 당부했다

< 공보관 소관>
ㅇ 김명경의원(서구6,민주당)
이츠대전이 시구의원의 경우 사무실과 집에 배부되어 이중배부되고 있어 배부와 시정홍보영상물 제작 5천만원은 매년 제작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격년제로 제작에 대하여 검토하라고 지적했다

ㅇ 김경시의원(서구2,새누리)
대전시와 인근 행정지역과 경계에 안내사인 및 상징조형물 유지관리비와 권역외 시정홍보 14개소 24회 2억원 소요에 대하여 언급했다

ㅇ 임재인의원(유성구1, 새누리)
대전의 4계절 홍보영상물 제작 5천만원의 제작하여 활용계획과 시정소식지인 이츠대전을 명예시민에게 발송여부와 각종 소식지 직접 발송시 예산도 절감하고 일자리 창출차원에서 청년 및 학생 등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라고 지적했다

ㅇ 권중순의원(중구3,새누리)
도시철도 2호선 관련하여 별도 제시한 홍보물 제작은 언제하며 홍모물 제작에 있어 공보관실과 실제 제작하는 부서간에 협의를 잘해서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고
홍보는 일목요연하게, 많은 분들이 볼 수 있고, 필요한 사람이, 지속성 있게 홍보하여야 함에도 그러하지 않은 경우 있어 내년도 도시철도 활용 시정홍보에 57백만원으로 시내버스 승강장에도 홍보하는 등 홍보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