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제22대 국회의원의 임기가 오는 30일 시작되는 가운데 대전지역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의정활동을 펼치게 될 상임위원회 배정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대전 7명 당선인들은 최근 당에 전반기 2년 희망 상임위를 신청했다. 당선인들은 ‘인기 상임위’ 쏠림보다는 균형 배정에 초점을 뒀다.
4선의 박범계 의원(서구을)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를 1순위로 지망했고, 2순위로 정무위원회(정무위), 3순위로 기획재정위원회(기재위)를 신청했다.
자신의 총선 공약인 충청판 실리콘밸리 완성을 의식한 듯 모두 경제 상임위를 신청했다. 다만 박 의원 주변에선 법무부 장관을 지낸 만큼 법제사법위원장을 추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선 조승래 의원(유성구갑)은 1지망에 정무위, 2지망에 산자위를 신청했다. 21대 국회에서 전·후반기 모두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과방위) 간사로 전문성을 쌓은 조 의원은 여야 간 원구성 합의 이후 당에서 과방위원장 요청이 올 경우 수락하겠단 스탠스로 풀이된다.
재선 장철민 의원(동구)은 산자위, 국토위, 정무위 순으로 희망 상임위를 신청했다.
동구 혁신도시 내 지식산업, 특허 관련 공공기관 유치에 힘쓰겠단 의지다. 21대 국회 하반기 국토위원을 지낸 장 의원은 22대 국회 하반기에도 국토위 배정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다.
3선 구청장 출신인 초선 박용갑 당선인(중구)은 1순위로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를 신청했다. 낙후된 도시 개발과 균형발전 등을 염두에 둔 판단이다. 2순위는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를, 3순위는 보건복지위원회(보건복지위)를 신청했다.
재선 구청장을 지낸 초선 장종태 당선인(서구갑)은 1순위에 정무위, 2순위에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3순위에 산자위를 써냈다. 시급한 민생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무위와 문화인프라 공약 이행을 위해 문체위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구청장 출신인 박정현(대덕구) 당선인은 행안위를 1순위로 지망했고, 2순위로 정무위, 3순위로 산자위를 신청했다.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분권 확대, 기후위기 대응 지방정부 지원, 지역화폐 활성화 등이 행안위 지망 배경이다.
과학자 출신 초선 황정아 당선인은 1순위에 과방위를 신청했다. 2·3순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황 당선인이 과방위 배정에 대한 강한 의지 표명으로 읽힌다.
그러나 법사위와 운영위원회 등 국회 주요 상임위 배분을 둘러싸고 여야의 ‘원구성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지역 당선인들도 상임위 배정에 예의주시하는 눈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