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는 행정안전부가 배분하는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896억 원 확보했다고 7일 밝혔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행안부가 지난해부터 10년간 매년 1조 원 규모로 인구 감소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조성하는 재원이다.
올해부터는 등급을 기존 5개에서 4개(S, A, B, C)로 축소해 최고-최저 등급 간 배분액 차이가 56억 원에서 80억 원으로 벌어지고 절반이 최저 등급에 해당해 시군 간 경쟁이 치열했다.
이번에 도는 광역계정 144억 원과 기초계정 752억 원으로 총 896억 원의 기금을 확보했다.
광역계정 배분액 241억 원 중 기재부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 조성에 따른 출자액을 제외한 144억 원은 충남 농촌형 리브투게더,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 4개 사업에 활용한다.
기초계정 752억 원 중 144억 원은 최고등급(S등급)인 부여군이, 112억 원은 A등급인 서천군이 확보했다.
부여군은 ▲스마트 농업 구조 고도화 ▲청년 임대주택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해 생활인구 확보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한다.
서천군은 ▲농촌 보금자리 임대주택 ▲전통 한옥 체험 숙박동 등 귀농·귀촌 인구 유입과 농촌 정주 여건 개선의 기틀을 마련한다.
이번 기금 확보를 위해 도는 인구 감소 시군과 실무협의체를 구성, 광역·기초 간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평가 과정을 지원해 왔다.
구체적으로 지난 2월부터 네 차례 회의를 열어 행안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등과 연계해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 전략 방안을 모색했으며, 시군 간 연계사업 발굴 등을 논의했다.
도 관계자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의 마중물로 삼을 것”이라며 “청년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 활성화와 함께 인구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